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방국
오른쪽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
우측
우편
d라이브러리
"
우방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1503
한 나 대표가 말을 이었다. “이상하지 않나요?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전통적인
우방
인데 갑자기 견제에 들어간다는 게. 사실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러시아를 압박할 필요가 있던 미국이 사우디와 손잡고 원유 가격을 낮춰버린 겁니다. 러시아는 천연가스를 팔아서 먹고 사는 나라인데, 엄청난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
과학동아
l
201312
활용한 통신 도·감청에 착수한다. NSA는 1977년까지 7개 위성을 추가로 띄웠으며 현재는
우방
국가들의 위성을 포함해 약 120여 개의 인공위성을 통해 광범위한 도·감청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인공위성은 큰 안테나를 통해 지상에서 전리층을 뚫고 우주까지 발사되는 전파들을 엿들을 수 ... ...
도시의 목덜미에 떨어지는 굵은 빗방울
과학동아
l
200804
기상청(www.kma.go.kr)과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대구
우방
랜드에서 경산 방향으로 국지성호우가 내리는 순간을 포착했다.촬영 당시 대구는 구름이 다소 낀 비교적 맑은 날씨였지만 대구의 남동쪽에 위치한 경산에는 시간당 56mm의 국지성호우가 내렸다. 여름철에 자주 ... ...
공포가 즐거운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607
때 생긴다.롤러코스터에서 중력가속도가 가장 큰 곳은 루프에 진입하는 구간이다.
우방
타워랜드 ‘허리케인’의 경우 이 부분에 가해지는 중력가속도는 5g다. 5g는 제트기 조종사들이 고속으로 비행할 때 받는 정도의 가속도로 일반인은 견디기 힘들다. 큰 중력가속도가 지속되면 시야가 어두워지고 ... ...
과거 위대한 문명들은 왜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0512
환경 훼손으로 멸망에 이른 문명과 함께 기후 변화, 이웃 나라와의 적대적 관계,
우방
의 협력 감소, 사회 구성원의 위기 대처 능력 저하를 문명의 주요 붕괴 원인으로 꼽고 있다.남아메리카 마야 문명은 왜 사라졌을까. 지나치게 많은 곡물을 재배하느라 삼림이 파괴되고 산허리가 침식돼 사용 가능한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08
통해 태생시의 혈액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출생 직후에는 하대정맥(下大靜脈)과
우방
의 내압강하(內壓降下) 및 폐순환(肺循環) 개시에 따른 좌방내압의 상승으로 혈류가 역류(逆流)하면 난원공에 부착된 판양막(辦樣膜)의 작용으로 구멍이 닫혀져 역류를 방지한다 뇌하수체전엽(腦下垂體前葉 ... ...
항암 치료 최전선 인류 최대의 난적 암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0111
원하는 세포만 파괴하는 최첨단 저격수, 글리벡도 개발됐다. 더욱이 한의학도 든든한
우방
을 자처하고 나섰다는데…. 동서양 연합군의 전투가 한창인 암 정복의 최전선으로 가보자 ... ...
③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903
유물이 되고, 세계의 흐름은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기 위해 과거의 적대국조차도
우방
이 되는 현실이다. 우리도 과거에 적대국이었던 중국과 러시아 등과 국교를 맺음으로써 남북통일의 가능성 또한 과거보다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남북통일에 대비하고, 근래 남북간의 문호가 개방됨에 ... ...
카파도키아 암반동굴
과학동아
l
199404
위치한 터키 (Turkey). 지난 53년 한국전쟁 때 유엔 참전국으로 우리나라와 인연을 맺은
우방
국이기도 하다.나라면적 78만5백70㎢로 우리나라(남한)보다 7.5배나 크며 시차는 7시간이다. 터키 국민은 절대 다수가 이슬람교(수니파)를 믿는다. 낙천적인 성격을 지녔으며 외국인에 대해 친절하다.터키는 유럽 ... ...
꿩
과학동아
l
199103
소개돼 그곳에서 관상용 또는 사냥새로 환영을 받고 있다.30여년 전 미국을 비롯한
우방
11개국에 꿩을 수출한 기록이 있다. 한국의 꿩이 지구 방방곡곡에 퍼져 잘 적응하면서 살고 있는 것이다.필자가 창경원동물원에서 근무할 때의 일이다. 1975년 7월 초여름 동물들에게 아침 문안인사를 끝마치고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