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전시관으로 향했어요. 가장 먼저 탐방한 곳은 민물고기 56종의 박제가 모여 있는 박제관(오른쪽 사진)이에요. 다른 데서 보기 어려운 철갑상어, 끄리, 갈겨니 등 진귀한 민물고기들의 생김새를 구석구석 살펴볼 수 있었답니다. 이날 안내를 맡은 중앙내수면연구소 김경환 연구원은 “민물고기를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또한 2013년엔 종이 기둥을 사용해서 지진으로 무너진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오른쪽 사진)을 복구하기도 했답니다. 그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4화] 지구와 달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강우량, 바람의 방향과 세기, 온도 등을 직접 측정해 기록할 수 있는 도구예요(오른쪽 사진). 한 손으로도 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어서 어디에서든 날씨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매일 매일 일정한 간격으로 시간을 정해 놓고 꾸준히 날씨를 관측하고 기록하며 기상학자의 꿈을 키워 보세요!‘화산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특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었지요. 대원들은 이 과정에서 꿀벌, 등에, 호랑나비(오른쪽 사진) 등 다양한 화분매개자를 구별하는 방법을 배웠답니다.그런데 아무리 화려하고 예뻐도 화분매개자가 통 모이지 않는 꽃들도 있었어요. 오통스 세레 연구원은 화분매개자의 ‘입맛’ 때문이라고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09
- 가운데 구멍을 비우고 시작하는 영국식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전략은 어떻게 될까요?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역을 6개로 나눠요. 그리고 페그 개수가 적은 1구역부터 차례로 페그를 잡아 먹어요. 1구역에는 세로로 페그 3개가 있어요. 이 페그들은 가운데 구멍을 이용해 모두 잡아먹을 수 있어요.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08
- 행성 A9813e, 이 항성계의 제5행성이자 유일하게 골디락스 존에 있는 행성. 모니터의 오른쪽 구석에는 다른 모습의 행성이 있었다. 짙은 파란색 바탕에 연분홍빛 얼룩이 있는 샛노란 행성. 하지만 대륙의 모습과 크기, 질량, 궤도는 동일했다. 그리고 이름도. A9813e. 30년 만에 돌아온 이 행성은 완전히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08
- 57:H7’은 매우 친숙하다. 여름철이면 자주 듣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다. O157:H7(오른쪽 사진)은 혈변이 나오는 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대장균으로, 1982년에 미국에서 햄버거를 먹고 피가 섞인 설사를 하는 환자들이 집단 발생하면서 처음 발견됐다. 일부 소와 염소, 양의 내장에 서식하는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08
- 하나, 간단하고 편리한 선거 절차가 먼저 눈에 띈다. 에스토니아가 공개한 투표 영상(오른쪽)을 보면 마치 미래의 세상처럼 컴퓨터에 ID 카드를 인식시키고 선거 시스템에서 후보자를 선택하면 끝이다. 시간에도,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새벽부터 몇 안 되는 투표장에 줄을 서서 투표하는 우리의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08
- 전체적인 뇌 기능 정도(BQ지수)와 육체적, 정신적으로 긴장했을 때 이겨낼 수 있는 정도(오른쪽 뇌의 항스트레스지수)가 높아져 있었다. 걱정과 번뇌가 사라지니 행복감이 증가하고 뇌 기능도 향상됐다는 증거다.명상을 하면서 행복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마음을 비우고 잡생각을 버리면서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08
- 나온 이후로 디지털 색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러 색공간이 등장했어요. 하지만 오른쪽 말발굽 모양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디지털 색공간은 삼각형 영역의 색만 표현할 수 있을 뿐, 자연에 있는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지는 않아요. 그래서 색채 연구자들은 색공간을 더 넓히기 위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