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마
악귀
마왕
데블
마귀
귀신
d라이브러리
"
악령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07
죽음으로 내몰 수 있다는 거예요.”기이한 외모=완벽한 사냥 도구?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악령
이 떠오르지만, 이야기의 주인공은 ‘아이아이(Aye- Aye, Daubentonia madagascariensis)’라는 영장류다. 지구에 존재하는 야행성 원숭이 중 가장 큰 종으로, 마다가스카르에 사는 여우원숭이상과 영장류다. 외모와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
과학동아
l
201407
하지 않으면 오히려 좋은 책을 묻어 버린다. 김영사도 그럼 경험이 있다. 칼 세이건의 ‘
악령
이 출몰하는 세상’은 번역 문제가 불거지면서 절판시켜야 했다. 매트 리들리의 ‘붉은 여왕’은 처음 출간했던 책은 절판시키고 번역을 수정해 개정판을 냈다.김 부장은 “단어 하나, 조사 하나 차이로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01
것이다. 내가 아는 한 길고양이는 결코 위협적인 ‘떠돌이 전사’나 음습한 ‘
악령
의 동물’이 아니다. 불쌍하고 천대받고 멸시당하지만,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우리의 길거리 이웃이다. 지속적으로 손을 내민다면 얼마든지 친구가 될 수 있는, 심장이 뜨겁고 늘 정에 굶주린 약자다 ... ...
생생한 대자연 속으로! 호주생태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4
두고 위 속 미생물을 이용해 발효시켜 영양분을 흡수한다. 테즈메니안 데빌밤에는 마치
악령
이 붙은 것처럼 소리를 지르고 으르렁거리며 돌아다닌다고 해서 악마라는 이름이 붙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겁이 많다. 1936년테즈메니안 호랑이가 멸종한 이래 세계에서 가장 큰 육식성 유대목이 됐다. 다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08
중독시키는 방법은 실제로 좀비를 연구했던 과학자들이 밝힌 방법과 비슷하다. 영화 ‘
악령
의 관’에 등장하는 내용이기도 하다(자세한 내용은 기획 첫 번째 파트‘죽은 사람이 어떻게 농장 노예 됐을까’에 나와 있다).아이티에서 좀비가 나타났던 1980년대, 부두교 주술사들이 사용했던 묘약에는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08
무지개(The serpent and the rainbow)’라는소설을 펴내기도 했다. 이 책은 1988년에 영화 ‘
악령
의 관’으로 제작됐다.실험으로 동물 좀비 만들었던 과학자들데이비스 박사의 연구 결과를 모든 과학자가 바로 인정했던 것은 아니다. 수많은 과학자와 의사가 그의 주장을 반박하거나 직접 실험으로확인하기를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향유를 사용한 기록이 있다. 고대인들은 향기에 신비한 힘이 있다고 믿어 종교의식에서
악령
을 쫓거나 불안을 잠재우는 안정제로 사용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향냄새는 명상할 때 마음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했다. 향기는 미용과 질병 치료에도 널리 쓰여 중국 양귀비는 유혹의 무기로 향기를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02
어둡고 무겁게 버티고 서있는 돛대에 이르면 산산이 분산된다. 먹구름은 검은
악령
처럼 온통 하늘을 뒤덮고 파도는 뗏목을 금세 삼켜버릴 듯 거칠다.주어진 사명을 착실히 따르기만 했던 봉건시대의 예술가와 달리 르네상스시대의 예술가들은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로 자연에 다가갔다.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12
인식하기 시작한 때가 2백년을 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전까지 정신질환자는 사탄의
악령
에 사로잡히거나 영혼이 달아난 사람으로 여겨져 왔다. 정신병원이 지어진 초기만 해도 정신병원은 정신질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라기보다는 사회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됐다. 정신질환자를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11
이 업적으로 보쉬(Carl Bosch, 1874-1940)도 1931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하지만 하버에게
악령
처럼 따라다니는 사실이 있다. 바로 유대인이면서도 독일에서 태어나 1차대전 중 나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애국자’였다는 점이다. 하버-보쉬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암모니아는 비료로도 쓰였지만,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