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민
국민
주민
도시민
백성
민중
대중
d라이브러리
"
시민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예술 작품 등을 응모 받는 것은 물론,
시민
들이 과학자들의 연구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시민
과학 프로그램도 마련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달이 태양을 꿀꺽! 개기일식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Part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사는
시민
과학자들을 위해 우리 앱을 스페인어로 번역해서 출시할 예정입니다. 전세계
시민
과학자들 덕분에 과학자들은 태양의 비밀에 한 걸음 더 다가설 거예요. Q. 한국의 어린이들에게 한말씀 부탁드립니다.한국의 어린이들이 개기일식과 같은 아름다운 천문 현상을 통해 과학적인 영감을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등 다양한 기록이 올라왔어요. 캘리포니아 과학아카데미의 엘리스 리차드 씨는 “
시민
과학자들의 도움 덕분에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동식물의 반응에 대한 많은 데이터를 얻었다”며, “개기일식으로 인한 환경 변화가 동식물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계기가 될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인공 개기일식을 볼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개기일식에 대한 과학자와
시민
들의 관심이 이렇게 뜨거웠다니 정말 놀라워. 다음 개기일식은 2019년 7월 남미 지역에서 있대. 뭐? 과학자들이 벌써 다음 개기일식과 관련한 연구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나도 개 과학자의 명예를 걸고 연구를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
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
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
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Part 2.
시민
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
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Part 4. [네 번째 사연] 동물 없는 동물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
동물원의 동물들을 모두 VR 영상으로만 전시하자는 청원을 낸 거예요. 만약 이 청원에
시민
1만 4000명 이상이 동의한다면 스페인 정부에서도 가상현실 동물원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될 거랍니다. # 왜 5월에 동물원 동물들의 고민이 많아졌는지 이제 이해가 되는군요. 어두운 고민으로 상담을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
연 지 141년 만에 동물들의 복지를 위해 동물원 문을 닫기로 한 거지요. 대신 그 자리엔
시민
들이 쉴 수 있는 생태 공원을 마련하고, 야생동물을 임시로 보호하는 시설을 지을 계획이랍니다. 본래 동물원에서 살고 있던 2500여 마리의 동물들은 야생 적응 훈련을 시킨 뒤 조금씩 자연보호구역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