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군"(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09
- 역으로, 화력이나 전술이 더 우세하면 수적 열세를 극복할 수 있다. 명량해전 당시 조선 수군은 왜군보다 배의 내구성, 화포 성능, 활솜씨가 뛰어났다. 다시 말해 원거리 전투에서 더 유리했다. 영화 ‘명량’은 극적 재미를 살리기 위해 해상 전투신을 갑판 위에서 병사가 직접 맞붙는 처절한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09
- 때문에 군함을 움직이면서도 화포를 쏠 수 있었다.왜 그런지 자세히 살펴보자. 조선의 수군을 원의 중심이라고 하고, 일본 군함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군함을 이어 원주라고 하자. 그러면 조선군과 일본군의 형세를 원의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즉 조선군의 위치인 원의 중심을 (a, b), ...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209
- 해전의 기록이에요. 칠천량은 지금의 거제도 근처 바다로, 원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의 전투선들은 왜군에 의해 약 150척이나 파괴되었고, 4~5척의 거북선도 이 때 모두 바다에 가라앉았어요. 학자들은 만약 거북선의 잔해가 남아 있다면 칠천량 바닷속 어딘가에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618
- 명중시키기 위해 탄도학 등 수학 수준도 높아집니다. 화포임진왜란 때 사용된 조선수군의 화포. 중국과 우리나라의 화약기술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났다.바다를 정복하면 세계를 정복한다각자의 대륙에서 전쟁을 벌이던 강대국들은 15세기 무렵부터 눈을 바다로 돌립니다. 중국의 ... ...
- 우리가 몰랐던 거북선의 참모습어린이과학동아 l200606
-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거북선은 돌격선의 역할에 충실했을 뿐 조선 수군의 주무기는 판옥선이었습니다. 튼튼하고 화포를 쏘기도 좋았으니까요. 하지만 덩치가 너무 커서 속도가 느렸는데 이 단점을 재빠른 거북선이 보완해 주었던 것이랍니다.이밖에도 거북선에 대해 과장된 묘사나 ...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과학동아 l200106
- 그리고 과정상에서의 기술을 중점적으로 심사관이 살펴본다.이런 차이 때문에 신해수군과 박영준군은 정보올림피아드에 출품한 작품과 별도로 올 초부터 인텔 ISEF를 위한 연구를 수행해야 했다. 기간은 고작 2개월 정도였다.그러나 인텔 ISEF에는 무려 8년에 걸쳐 연구를 수행한 학생도 있고, 하나의 ...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과학동아 l200006
- 포수는 상갑판에 위치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증언은 거북선이 3층 구조로 1층은 수군의 침실과 군량 무기 창고로 이용됐으며, 2층은 노군과 사부가, 3층은 포요원이 위치해 전투시 포와 활 그리고 기동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었던 군선이었다. 거북선의 크기는 박문수가 지적한 것처럼 포혈이 ... ...
- 외계인의 습격과학동아 l199709
- 경악했다.외계인들도 깜짝 놀란 듯했다. 그들은 재빨리 다시 안으로 들어갔다. 사람들은 수군대기 시작했다.“이럴 수가! 인간이잖아요?”“정말! 그것도 나체였어요.”그랬다. 외계인은 인간의 남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사람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사이에 다시 문이 열리고 외계인이 걸어나왔다. ...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과학동아 l199004
- 데이터의 대부분이 판독이 어려운 영문으로 표기되어 가입자들이 불편을 겪었다.윤재수군이 개발한 한토크는 당시 고가였던 한글카드 없이도 컴퓨터통신시 한글데이터를 완벽하게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었다. 윤군은 한토크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한글카드를 소유한 사용자라 ...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과학동아 l198912
- 채로 남아 있다. 우종원군(85년 당시 23세·서울대4년) 김성수군(86년·18세·서울대 1년) 신호수군(86년·24세·근로자)사건이 그렇고 올해들어와 이철규군(조선대생) 이내창군(중앙대 안성분교 학생회장) 의 '의문의 죽음'이 또한 그러하다.지난 4월 시위도중 부상당한 부산교대 이경현양의 부상원인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