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d라이브러리
"
성층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프레온가스(CFC)’였어요. 프레온가스는 에어컨이나 냉장고의 냉매로 사용되는 물질로,
성층
권에서 자외선에 의해 분해돼 염소 원자를 만들어요. 바로 이 염소 원자가 오존층을 파괴시킨 거예요.그래서 전세계 197개 나라들은 1987년 9월 16일, 캐나다 몬트리올에 모여서 프레온 가스의 생산과 사용을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관측 결과와 비교해 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019년엔 NASA와 협력해서
성층
권에 오르는 기구에 우리가 만든 차세대 코로나그래프를 실어 태양의 코로나를 관측할 계획입니다. 이후에는 국제우주정거장에도 보내서 코로나를 관측할 예정입니다. Q. 어린이들에게 한 말씀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
과학동아
l
201708
만들어
성층
권에서 기구를 이용해 시험 관측을 할 계획이다. 기구를 이용해
성층
권 상부까지 올라가면 하늘의 밝기가 지상의 1000분의 1로 떨어져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다.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코로나그래프는 2021년에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되고, 이는 우리나라가 만든 최초의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1708
이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들 파동은 대부분 낮은 고도의 대류권에서 생성돼
성층
권과 중간권, 때론 열권까지 전파됐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면서 대기압이 낮아져,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이들 파동의 진폭은 증가했다. 서로 다른 파동들은 동일한 위도를 따라 이동했고,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1707
에어로졸로 바뀌어 전 지구에 실안개 층을 형성했을 거고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볼 때
성층
권의 안개 층은 널리 뻗어 나갔을 겁니다. ‘절규’에 그려진 물결 무늬와는 다르게요. 실제로 1883년과 1884년 유럽과 북미에 나타난 색다른 일몰에 대한 자료에 화려한 색상은 묘사돼 있지만 물결 모양에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05
넓은 아크릴판을 올리고 우주먼지가 붙을 수 있게 실리콘오일을 바른다. 이 비행기가
성층
권을 날면서 위에서 떨어지는 우주먼지를 받는다. 이렇게 회수하면 우주먼지가 아크릴판에 부딪히면서 부서진다는 단점이 있다. 실리콘오일을 세척할 때 우주먼지 속 유기물이 씻겨갈 수도 있다. 두 번째는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03
79년 위성관측이 시작된 이후 역대 네 번째로 많이 녹았다. 그 결과 제트기류(대류권 상부~
성층
권 하부에 수평으로 부는 강한 바람대)가 느슨해지면서 북극의 차가운 공기가 중위도 지역까지 요동치며 남하했다. 지난 46억 년간 지구에는 급격한 기후변화가 수차례 일어났다. 회의론자들은 최근의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703
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반감기는 117일 정도였다.노영민 교수는 “라이다 시스템으로
성층
권 내 화산재를 관측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며 “백두산 화산 폭발 등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한반도와 그 주변 화산 폭발 재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12
폭발 시나리오 : 분연주가 천지 중앙에서 25km 높이로 치솟는다고 가정할 때(위) 대부분은
성층
권 높이까지 올라가 제트기류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지만, 일부 화산재는 대기권 내에서 계절풍을 타고 남한까지 내려온다(아래). 시간에 따라 화산재가 퍼져나가는 속도는 백두산이 2012년 5월 2일 오후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12
연구도 했다. 그 결과물로 백두산이 서기 960년대 대규모 폭발을 일으켜 분출물을
성층
권인 25km 상공까지 뿜어 올렸다는 논문을 2000년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백두산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수많은 후속 연구를 낳았다. 하지만 그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가 가장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