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화"(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밝힌 논문은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산자르는 성과를 인정받고 노스캐롤라이나대 생화학 교수로 부임해 현재까지 해마다 수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필자가 산자르 교수의 연구실에서 수학하며 가장인상적이었던 것은 그의 성실한 연구 자세였다. 하루도 빠짐없이 연구에 매진하는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과학동아 l201311
- 말한다. 이 관장이 대학에 들어갈 때는 생물학 그러면 미생물학이나 분자생물학, 생화학, 유전학 같은 첨단 학문을 해야 했다. 정작 야외에 가서 동물이나 식물을 직접 볼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 직접 야외에 나갔던 분류학 전공자는 지금 보니까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과학동아 l200712
- 있는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NER의 과정을 밝혔다. 올해 초에는 ‘유럽연합생화학지’(FEBS)와 ‘광화학과 광생물학지’에 NER을 총괄적으로 정리하는 초청논문을 싣기도 했다.하지만 그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NER 과정에 참여하는 단백질 중 아직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과학동아 l200209
- 상품화해 세계시장으로 진출 하기 위해서 상당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야생화의 개발은 원래 20-30년이 소요되는 시간과의 싸움이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모든 것을 이룰 수는 없다. 오늘날의 팬지나 피튜니아도 2백년이라는 세월이 소요됐고, 야생 털개회나무로부터 미스킴 라일락이 ...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과학동아 l200109
- DNA가 이중나선 모양을 하고 있음을 규명해 노벨상을 수상하기 3년 전인 1959년 국제 생화학회를 창설했던 세계적 실력자인 오초아는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이유는 DNA로부터 RNA를 합성하는 효소를 발견한 공로였다. 그러나 그의 연구결과도 옳은 것이 아니었다.실험실에서 연구하다 보면 ... ...
- 식물 고통 덜어주는 아스피린과학동아 l199809
- 아스피린과 유사한 약물을 사용해서 완화시켜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 생화학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동물처럼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포가 물리적으로 손상되면 식물도 적절한 자기 방어를 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이 연구에는 미국 ...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과학동아 l199103
- 있는 거미연구소(84년 9월 설립)에서 일하며 거미연구의 대를 잇고 있다. 학부때는 생화학을 전공했지만 거미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전공을 바꿔 거미계통분류에 전력하고 있다.전씨가 사진을 찍기 시작한 것은 얼마되지 않았다. 무척추동물인 거미는 액침(알코올 이용)을 해 보관하는데, ...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과학동아 l199012
- 인륜을 어기거나 생물의 종(種)을 파괴하는 학문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1984년 6월 미국 생화학회에서는 한 놀라운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었다. 이 자리에서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의 윌슨(Wilson)박사팀은 현재 절멸(絶滅)돼 지구에서 사라진 남아프리카 당나귀, 즉 구아가(Guagga)의 1백40년전 ...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과학동아 l199012
- 서울대 미생물학과 하영칠교수 주도) 분자생물학 및 유전자조작연구센터(경상대 생화학과 조무제교수), ERC(공학연구센터)로 생물공정연구센터(한국과학기술원 장호남박사, 바이오리액터를 주로 연구할 계획이다)와 동물자원연구센터(건국대 축산학과 정길생교수, 가축 육종에 주력할 예정)가 ...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과학동아 l199011
- 여전히 생화학분야의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80년에는 '핵산의 생화학적연구 및 핵산의 기본구조결정'(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드릭 생거) 82년의 '결정전자 현미경검사법개발과 핵산단백질 복합물질구조의 규명'(A.크루그), 84년의 '단백질 펩티드 대량생산법의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