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명
목숨
생것
날것
saint
d라이브러리
"
생
"(으)로 총 4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채소왕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0
수 있답니다. 충남대학교 육홍선 교수팀은 시금치를 나물로 만드는 우리나라의 요리법이
생
으로 먹는 것보다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시금치와 데친 뒤 양념에 무쳐 나물로 만든 시금치를 비교 분석했어요. 그 결과, 시금치를 나물로 만들었을 때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09
전해졌다. 유방암 투병 중이던 미르자카니 교수가 7월 15일 미국에서 40세의 나이로
생
을 마감했던 것이다. ‘최초’ 수식어를 받은 뒤 채 3년이 지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다. 이 소식에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란 출신의 세계적 수학자 미르자카니의 죽음을 애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
과학동아
l
201709
발표한 논문 ‘공학 분야 역할모델의 현황과 전문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
생
의 실질적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여성의 비율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계에 부는 ‘걸크러시’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Part 2. ... ...
[Career]
생
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09
연구실인 만큼 아직 박사과정 졸업
생
이 없다. 하지만 이 연구실을 졸업하면 분자신경
생
물학 및 신경질환과 관련된 연구 분야에 박사후 과정으로 진학하거나 대기업 연구소,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
[과학뉴스] 호박 속에
생생
하게 남은 9900만 년 전 아기 새
과학동아
l
201708
알아냈다. 또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를 이용해 살아 있을 당시 비행하는 모습을
생생
하게 복원해냈다.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 저널 ‘곤드와나 리서치’ 9월호에 실릴 예정이다.doi:10.1016/j.gr.2017.06.00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8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
생
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Epilogue. 그리고… 아무도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707
옛날 옛적, 한 청년이 유산으로 고양이 한 마리를 받았다. 청년은 형편이 어려워서 고양이를 남의 집에 맡기려고 했다. 그러자 고양이가 갑자기 말을 하더니 “장화 ... 세계를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도 한 세계 해석보다 많은 세계 해석이 더 그럴듯하다고
생
각할 까닭이 있을까요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
이용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어요. 두개골의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왜곡이
생
긴다는 거예요.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는 실제 뇌파의 80~90%에 불과해요. 이 때문에 뇌파로 드론을 움직일 수 있지만, 큰 로봇을 정교하게 조절하기는 어렵다는 거지요.●전기전도도 : 전기가 통하기 쉬운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707
입증해야 한다. 두말할 필요 없이 꼬마깡충좀벌의 암컷 병정이 번식을 마다한 채 장렬히
생
을 마감하는 행동은 병정 자신에게 손해다. 둘째, 행위자는 자신이 해코지한 상대보다 엉겁결에 이득을 얻는 주변 개체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꼬마깡충좀벌자매들끼리는 모두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
것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해요. 이 모세관 현상은 액체가 관에 붙으려는 힘 때문에
생
겨요. 관이 가늘어질수록 이 힘은 더 강해진답니다.지난 해, 김성재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교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해수담수화 장치를 개발했어요. 이 장치는 10nm의 가느다란 모세관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