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면
비탈
비탈면
사평면
d라이브러리
"
빗면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09
색종이를 원래대로 펼쳐보면 밑변에 무늬를 만들었던 종이는 십자가 모양의 무늬가,
빗면
에 무늬를 만들었던 종이는 X자 모양으로 무늬가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처럼 ‘자르기’를 어느 위치에 하느냐에 따라 무늬의 대칭이 달라지니, 기리가미에서 대칭에 대한 이해는 필수다. 기리가미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2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있어. 돌려서 심이 나오는 방식은 돌리면 나사처럼 둥글게 파진
빗면
을 따라 심을 잡고 있는 부분이 내려오면서 심이 나오는 원리야. 돌리면 나오는 색연필을 생각하면 쉬워.누르는 샤프는 윗부분 혹은 옆 부분의 버튼을 누르면 아래 심을 잡고 있는 부분이 벌어지면서 심이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302
어디에 물체를 놓아도 동시에 바닥에 도달)’과 ‘최단강하성(오목한 사이클로이드
빗면
에서 물체가 가장 빠르게 바닥에 도달)’을 만족하는지 확인했어요.” 자료도 문제였다. 비슷한 자료는 많은데 이론적으로 제대로 연구된 자료는 거의 없었다. 찾은 자료들을 모두 다시 해석해야 했다. 초고속 ... ...
기계공학, 바이오로보틱스
과학동아
l
201301
드릴과 수력발전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서로 너무나 다른 기계지만 그 속을 알고 보면
빗면
이나 축바퀴의 원리 등 공통적인 과학원리가 쓰였다. 기계가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원리를 상세한 글과 친절한 일러스트를 이용해 설명했다. 중간중간 귀여운 매머드 이야기도 들어 ... ...
수학동아 VS 지베안 드가 진짜 캠핑의 달인은 누구?
수학동아
l
201210
이 힘은 쐐기의 경사진
빗면
을 통해 직각 방향인 윗면으로 전달된다. 이때 도끼의
빗면
보다 윗면의 길이가 짧아서 도끼는 엄청난 힘으로 나무를 찍어 누르게 된다. 그 결과 나무가 쪼개지는 것이다.장작을 준비한 두 사람은 이제 장작을 차곡차곡 쌓아 불을 피울 준비를 한다. 캠프파이어 형태로 ... ...
열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09
맞춰져 상자가 열린다. 상핀은 상자 윗부분에 용수철로 고정돼 있고, 열쇠의 톱니 부분이
빗면
모양이어서 상자가 열린 뒤에 열쇠를 다시 꺼낼 수 있다. 용수철에 의해 핀들이 제자리로 돌아가면 상자가 다시 닫힌다. 문에 설치된 자물쇠는 이런 원리로 만들어졌다.실린더 자물쇠 문이 잠기면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12
법칙을 유도해 내는 과정입니다. 빛의 입자가 움직이는 경로는 그림의 직각삼각형에서
빗면
에 해당합니다. 입자의 위치를 이용해 입자의 운동시간을 식으로 나타내고, 이 식이 하나의 극점을 가지려면 도함수가 단순증가 함수여야 함을 증명합니다. 극점에서는 도함수의 값이 0이라는 사실을 잘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10
0.1kg인 물체로 용수철 상수가 1000N/m인 용수철을 0.1m 압축시켰다가 가만히 놓아 물체가
빗면
을 따라 올라가도록 하였다. 물체는 용수철에서 분리돼 A에서 B까지 10m 이동한 뒤 높이 3m인 점 C에서 멈췄다. 이때 물체와 수평면 AB 사이의 마찰은 일정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마찰이 작용하지 않는다. 물음에 ... ...
과학만 있으면 나도 천하장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산은 올라가야하는 거리는 길지만 작은 힘이 듭니다. 바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빗면
이지요. 축바퀴도 마찬가지랍니다. 축바퀴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도구인 드라이버를 보면 나사를 죄는 부분보다 손잡이 부분이 더 큽니다. 그래서 나사를 죄는 부분보다 손잡이 부분이 더 크게 회전하게 ... ...
A4용지의 변신 2가지
과학동아
l
200301
없는 경우 물체의 자유낙하 속도가 물체의 질량과 무관하다는 사실은 갈릴레이가
빗면
실험으로 주장했다. 그리고 1970년대 아폴로 우주선을 타고 달에 착륙한 우주비행사들이 깃털과 돌멩이를 떨어뜨렸을 때 동시에 떨어지는 것으로 증명됐다. 달에는 공기가 없어 공기저항이 0이기 때문에 깃털과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