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블루"(으)로 총 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09
- 차지하는 파란 장미를 최초로 피우는 데 성공했다(doi:10.1093/pcp/pcm131). 하지만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SUNTORY blue rose APPLAUSE)’라고 불리는 이 장미는 파랑보다는 보라에 가깝다. 연구진 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여전히 진정한 의미의 파란 장미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07
- ‘열린연단 : 문화의 안과 밖’은 4월부터 11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 북파크 카오스홀에서 진행되는 릴레이 강연이다. 철학/사상, 과학/과학철학, 정치/경제, 문학 등 네 개의 섹션으로 나눠 총 34회의 강연이 이뤄진다.올해로 4회째를 맞은 ‘열린연단 : 문화의 안과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06
- 사용하기 때문에 빵에서 신맛이 난다.백문이불여일견! 기자는 일단 르 꼬르동 블루-숙명 아카데미의 알랭 상셰(Alain Sanchez) 제빵장과 함께 빵을 만들어 직접 맛을 보기로 했다. 다행히 많은 과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핫이슈인 덕분에 고대 이집트 빵을 만드는 대략적인 레시피를 쉽게 구할 수 있었다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06
- 파일 공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SMB) 원격코드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것이다. ‘이터널블루’라 불리는 이 취약점은 미국 국가안보국(NAS)이 밝혀낸 것으로, 4월 14일 해커 단체 ‘섀도우 브로커스’가 내용을 훔쳐 유출하면서 이를 악용한 워너크라이가 탄생했다. 더구나 워너크라이는 보통의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06
- 화학반응이 일어나 빵의 풍미가 다양해지는 걸까. 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르 꼬르동 블루-숙명 아카데미의 알랭 상셰 제빵장과 함께, 동일한 반죽에 각각 생이스트(시판용 효모), 제빵장이 직접 만든 발효종, 그리고 화학팽창제를 넣어 빵을 만들었다. 그리고 반죽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빵으로 ... ...
- [과학뉴스] 약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만들어요. 반응판에는 빛에너지를 흡수해 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인 ‘메틸렌블루’가 있어서 일정한 에너지에 도달하면 반응이 시작되지요. 이 반응판은 멀리서 보면 잎맥처럼 생겼답니다.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 나뭇잎은 기존 연구에 비해 40% 이상 효율이 높아요. 즉, 더 많은 화학물질을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01
- 뉴욕의 유명 보석회사인 티파니의 제안으로 이름을 바꿨다. 블루 조이사이트의 어감이 블루 수어사이드(Blue Suicide)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사파이어에 필적하는 새로운 보석으로 대대적인 마케팅을 전개하려는데, 이르멩서 '자살'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연상된다는 것이다.보통 새로 발견된 ...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18
- 관상용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요. 특히 색이 아름다운 ‘레드크로우’와 ‘블루크로우’가 인기랍니다.랍스터랍스터는 십각목 가시발새우과에 속하는 갑각류예요. 대륙붕이 발달한 얕은 바다에 서식하고 있어요. 그래서 우리말로는 ‘바닷가재’라고 불러요. 맛있는 감칠맛이 나고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10
- 하고 있다. 김한준 KIOST 생태기반연구센터 연구원은 “골드, 에코그린, 실버, 블랙, 블루 등 다양한 색의 진주가 있다”며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색은 에코그린이지만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는 유난히 흑진주가 인기가 많아 가장 경제성이 높다”고 말했다. 흑진주 양식 기술은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08
- 오래된 문서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이 있었고, 또 어떤 것을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언어학자들은 오래된 문서에서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에 주목했다. 역사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난 색깔은 검정과 하양이다. 각각 다른 색깔을 인지하고 이름을 붙이기에 앞서 깜깜한 밤과 환한 낮을 구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