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계기가 있나요?이승현: 곤충 동호회에서 처음 만났어요. 셋이 나이도 다르고, 전공하는 분야도 제각각이었지만 ‘하늘소’라는 공통점 하나로 뭉치게 됐지요. 저는 당시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었는데, 탐사를 다니며 하늘소의 매력에 더 빠져서 곤충분류학으로 전공을 바꿨지요. 현재는 대학원에서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한 말씀 부탁드려요.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과학지식이 모두 필요하지요. 오션원을 만들 때에도 기계공학자,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했답니다.그러니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과학적인 사고력을 길러 보세요. 또 요즘은 아두이노처럼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구조를 알아야 해요. 이때는 X-선을 이용하지요. ‘단백질 결정학’이라고 부르는 이 분야를 개척한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인 도로시 호지킨이랍니다.1910년 5월 12일에 태어난 호지킨은 옥스퍼드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어요. 그리고 1934년, 위에서 ... ...
- [과학뉴스] 가상현실에서 미키마우스와 놀 수 있는 ‘요술 의자’과학동아 l201709
- 거추장스러운 헤드셋은 가라! 보조기구 없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디즈니연구소 연구팀은 의자에 앉기만 하면 사랑 ...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7월 30일~8월 3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열린 컴퓨터그래픽 분야 학술대회 ‘시그래프 2017’에서 발표됐다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09
- 수평을 잡았다. 이 모든 과정은 국가무형문화재 석장을 비롯한 장인들과 건축, 보존 분야 연구원들이 힘을 합쳐 진행했다.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문화재를 가장 전통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튼튼하게 복원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2015년 석가탑 복원이 끝났다. 석가탑은 건립된 지 약 300여 년 만에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09
- 자격증과 보트 조종 면허를 딸 거예요.” "저만의 연구 주제를 찾아, 훗날 그 분야에서만큼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계에 부는 ‘걸크러시’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Part 2. 5人 5色 인터뷰Part 3.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09
- 받았으면 한다. Q. 최근 가상현실(VR)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CG의 응용 분야도 더욱 폭넓어질 것 같은데. 임: 현재 할리우드에서는 영화 제작 계약을 할 때 시각효과에서 VR 작업을 따로 해 달라는 항목을 넣고 있다. 웨타디지털에서 VR 전담팀이 따로 있고, 내가 담당했던 ‘정글북’ 같은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09
- 되지 않았던 원자나 전자 같은 미시세계를 다루기 위해 20세기에 등장한 물리학의 한 분야다. 그런데 양자역학은 현상을 확률적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지우개와 입자가 방 안 어디에 있는지 묻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고전역학에서는 ‘지우개가 책상 위에 있다’처럼 명확하게 위치가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09
- 우주 공간의 모양과 부피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기하학으로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 연결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런 연구 성과로 미르자카니 교수는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대회에서 여성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했다. 이란의 첫 필즈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수학계의 별이 지다그런데 201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09
- 박사과정 연구원은 2016년 5월 ‘공학교육연구’ 제19권 제3호에 발표한 논문 ‘공학 분야 역할모델의 현황과 전문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의 실질적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에서 여성의 비율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계에 부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