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국민
민생
인민
대중
평민
도시민
d라이브러리
"
백성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06
잦았던 탓에 군사들을 먹이기 위한 식량이나, 피라미드 건설 같은 노역에 동원되는
백성
들에게 지불하는 수단으로써 빵을 만들었다. 특히 맥주와 빵을 임금으로 지불했다거나, 맥주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다. 당시의 빵 생산량이 상당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고대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수기자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8
자격루를 볼 수 있었어요. 자격루는 자동으로 시각을 알려 주는 물시계예요. 세종대왕은
백성
들에게 정확한 시각을 알려 주기 위해 장영실에게 자격루를 만들라고 명했어요. 자격루의 작동 원리는 홈페이지에서 제가 작성한 기사를 참고해 주세요.^^Q. 기사를 쓰며 재미있었던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12
기울고 청나라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조선의
백성
이 될지언정 청의 신하, 오랑캐의
백성
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해 조선으로 귀화했습니다. 이에 조선의 왕은 그간의 공의 인정해 두사충에게 땅을 하사했는데, 조선의 산세와 지세를 훤히 꿰뚫고 있던 두사충이 처음 정한 명당자리가 지금의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
뜻을 지니게 됐답니다. 살아 있는 생물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요. 또 사람이나
백성
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답니다. 몸 체(體)는 ‘뼈 골(骨)’과 ‘풍성할 풍(豊)’이 결합한 형성문자예요. ‘풍성할 풍(豊)’은 원래 신에게 바치는 여러 물건을 수북하게 쌓은 모양을 본뜬 글자예요. 이 뜻이 골(骨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
수학동아
l
201605
신비로운 음식의 이름”이라고 설명했다. 구약성서인 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
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6
★★★16세기 영국에는 왕실 변기 담당관이 있었어요. 당시 왕은 신성한 존재라
백성
들은 왕을 위해 모든 일을 해야 했지요. 그 중에서도 왕의 엉덩이를 닦는 왕실 변기 담당관은 지저분하지만 추앙 받는 자리였어요. 오직 고위 귀족만이 왕의 엉덩이에 손을 댈 수 있었거든요.왕이 용변이 급하면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10
역법은 해와 달, 별의 주기적인 움직임을 관찰해 달력을 만드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백성
이 농업이나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역법은 무엇보다 중요한 학문이었다. 중국에서는 황제가 바뀔때마다 역법을 새로 만들어 자신의 나라는 물론 조선이나 왜에까지 달력을 반포했다.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09
넓게 뻗은 옛 육조거리를 향해 팔을 쫙 벌린 모습으로 긴 담을 펼치고 있습니다. 마치 온
백성
을 따뜻하게 품으려고 했던 조선 왕처럼 말이죠. 광화문 왼쪽과 오른쪽 상단에는 궁궐의 화재를 막으면서 동시에 공평과 정의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 해태도 있습니다.광화문은 법궁의 정문임에도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
수학동아
l
201506
합니다. 지금은 비록 37개만 남아 있지만 세상의 구석구석을 향해 눈과 귀를 열어놓고
백성
들을 지켜보았던 216개의 부처님 얼굴이 앙코르 제국을 자비로움으로 가득 물들였을 거예요.바이욘을 둘러싼 회랑의 부조도 자세히 감상해 보세요. 바이욘에는 내부와 외부 회랑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외부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10
정비하기 위해서도 공동체가 필요했다. 이처럼 모내기가 조선의 르네상스를 불러왔지만
백성
대부분은 여전히 배를 곯았다. 당시 조선의 1000m2 당 쌀 생산량은 현재의 10%에 불과했다. 봄철이면 항상 보릿고개에 시달렸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배불리 쌀밥을 먹게 된 것은 250년 뒤인 1976년이다. 197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