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터리"(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오랫동안 비행한 기록이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Part 2. 100일 동안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로봇이 되지요.◀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상영 교수팀은 종이를 이용해 접을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들었다.최근 연구팀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여러 개의 로봇을 하나의 판으로 붙이는 연구도 진행했어요. 로버트 우드 교수는 “로봇이 하나의 판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위급한 구조 현장에 여러 대의 ...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못해요. 전자제품마다 부품과 크기, 디자인이 제각각이거든요. 게다가 잘못하면 배터리가 폭발하거나 전자제품 안에서 납이나 카드뮴 같은 유독 물질이 흘러나올 수도 있지요.그래서 과학자들은 기계를 이용해 전자제품을 정밀하게 분해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애플에서 아이폰을 ...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09
- 심각한 문제였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후 1년간 실험을 거듭했다. 배터리 전류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나타난 건 아닌지 점검해 봤지만 소용없었다. 통신 속도의 영향은 아닌지 테스트해봤지만 이 역시 허사였다. 결국 연구팀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측정 지표를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동물을 기르고 있지요. 이를 ‘공장식 축산’이라고 해요.예를 들어, 알을 낳는 닭은 ‘배터리 케이지’라는 틀에 갇혀 살아요. 한 마리 당 A4 종이 한 장의 크기도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날개도 제대로 펼치지 못한 채 평생 알만 낳는 거예요. 이런 환경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닭은 다른 닭을 ... ...
- [과학뉴스] 50초 만에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되나과학동아 l201708
- 적지만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전극은 슈퍼 축전기의 속도, 배터리의 전기용량 등 장점만을 합쳤다. 수초 만에 충전이 가능하다.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전극의 독특한 구조 덕분이다. 전하는 전극의 산화환원 활성부위에 저장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많을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백신이 변질되기 쉽지요.안성훈 교수팀은 오토바이의 발전기와 배터리에 연결해 쓸 수 있는 백신 냉장고를 개발했어요. 백신 냉장고에는 ‘펠티어 효과’라는 원리가 숨어 있어요. 펠티어 효과는 두 종류의 금속에 전류를 흘려 주면 온도 차이가 생기는 현상이에요.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쿼드콥터는 회전날개가 4개인 드론이랍니다.드론 파이터는 모터, 40여 개의 LED,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기, 조종기 등으로 구성돼 있어요. HD 카메라도 부착돼 있는데, 화질이 1080 x 720 픽셀로 선명해요.드론 파이터를 조정할 수 있는 실력에 따라 ‘모드’를 바꿀 수 있어요. 저는 전문가 모드를 ... ...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위해 1년 넘게 고민한 결과, 촛불 LED 램프인 ‘루미르’를 만들었지요.루미르는 전기나 배터리 없이 양초에 불을 붙인 뒤 제품을 올려놓기만 하면 LED가 켜지는 램프예요. 그런데 어떻게 촛불로 LED 램프를 켤 수 있을까요? 핵심 원리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 주는 ‘제벡효과’예요. 두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07
- 살며 생활 패턴이 같은 가구를 묶어 커뮤니티 단위로 전기를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또 배터리 충전식 태양열 에너지로 전기를 만들어 쓰고, 부족한 전기만 공급하기를 바랐습니다.2017년 2월 열린 호주 및 뉴질랜드 산업수학 스터디그룹에서 생긴 연구팀은 우선 ‘푸리에 전개’와 ‘자동회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