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구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팔삭동이
조산아
d라이브러리
"
미숙아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인공 자궁 속에서 음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
투명한 비닐 백 안에 새끼 양이 들어 있어요! 무슨 일일까요?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팀은 100일 만에 어미 배에서 나온 새끼 양 8마 ... 초
미숙아
들도 건강하게 자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장치를 계속 개선해서 실제
미숙아
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보면 마치 사람의 아기처럼 돌봐 주려고 하지요. 인간의 아기는 직립보행으로 인해
미숙아
로 태어나기 때문에, 양육행동이 일어나는 시작점이 아주 낮게 맞춰져 있어요. 그래서 귀여운 모습이 조금만 있어도 바로 양육행동으로 이어지지요. 그 덕분에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은 인간에게 귀엽게 ... ...
Best Scientific Inventions in 2010
과학동아
l
201101
미국의 한 대학생이 개발한 네오너처는 고물 자동차의 부품을 재활용해 사회적 필수품인
미숙아
양육 인큐베이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뛰어난 발명품이다.네오너처의 구조를 살펴보면, 헤드라이트가 인큐베이터에 열을 가하고, 개조된 에어컨 팬이 인큐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02
신경계 질환 등이 망라돼 있다.사업단 소속인 연세대 의대 박국인 교수팀은 대개
미숙아
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손상, 즉 뇌에 피가 안 통해 산소가 부족해져 뇌세포 일부가 죽어 생기는 손상을 줄기세포로 회복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허혈성 뇌손상은 뇌성마비나 정신지체, ... ...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과학동아
l
200705
성급하게 사람에게 적용할 순 없겠지만 산모가 극단적인 영양 결핍 상태에 빠지면
미숙아
를 낳거나 유산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는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나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섭식장애 이긴다지난 1월 영국 배우 키이라 나이틀리는 자신이 거식증에 시달린다고 보도한 언론사를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24-26주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는 대부분 폐가 발달하지 않은
미숙아
다. 이들에게는 첨단 인공환기법도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다.40주를 채우고 태어난 신생아의 몸무게는 대개 3kg 남짓이다. 24주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는 대부분 5백g이 채 안된다. 1kg 미만의 조산아를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05
수정란을 만들었지만 태아로 자라난 것은 28마리뿐이었으며, 이것도 18마리는 대부분
미숙아
로 사산했다. 결국 정상적으로 태어난 것은 단 2마리로 성공률이 0.3%에 불과하다. 게다가 단성생식을 위해선 여성 한명이 평생 만들어내는 수에 육박하는 수백개의 난자가 필요하다.이 점에서 이번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11
때의 접촉 결핍의 심각성을 인식해 피부접촉을 장려하는 '터치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미숙아
나 버려진 아기들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쓰다듬어 주는 자원봉사자들도 많다.과도한 시각정보는 공격성 키워최근 우리나라도 서구 이상으로 접촉 결핍 현상이 만연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 증가와 지나친 ... ...
②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
과학동아
l
199902
산모 몸 밖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언제부터 생기는가였다.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는
미숙아
가 태어났을 때 집중적인 간호를 받아 거의 100% 생존할 수 있는 시기는 28주 정도였다. 그 이전의 태아는 세상에 나와도 생존한다고 보장할 수 없었다.‘로 대 웨이드 사건’(Roe v. Wade)이라 불린 이 판결은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02
불완전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돌 리가 탄생하기까지 2백50여회의 실험이 반복됐다. 많은
미숙아
들이 실험실에서 죽어갔다.이런 불확실한 기술을 사람에게 적용시킨다면 얼마나 많은 생명체가 '폐기처분'될까. 또 인공장기를 대체할 살아있는 장기를 얻기 위해, 그리고 신약품의 효능을 테스트할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