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도랑"(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이야기 열] 다시 보자! 잡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도심 속 길가, 돌계단, 시멘트 길의 깨진 틈새를 자세히 들여다보세요. 개미가 씨앗을 물어 나를 정도로 작은 씨앗을 맺는 ‘개미자리’, 열매를 터트려 씨앗을 멀리 보내는 ‘괭이밥’이 보일 거예요. 논이나 도랑 같이 흙에 물을 품고 있는 습지에서는 물을 좋아하는 잡초가 자라요. 이처럼 알아차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12
- 출구조사 결과가 나온 순간부터 인터넷은 충격에 빠졌다.출구조사 결과가 틀렸던 지난 서울시장 선거가 재분석되고 방송3사 통합 출구조사와 다른 예측을 내놓은 방송국에 무한한 신뢰가 쏟아졌다. 하지만 출구조사는 언제나처럼 오차 없이 정확했다. 결말부터 알려주고 시작하는 소설처럼 밤은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01
- 30년 전인 1986년 1월 과학동아가 처음 세상에 나왔다. 같은 해, 과학자로 첫 발걸음을 뗀 이들도 있었다.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대(KIT)는 1986년 첫 번째 학부생을 모집했다. 과학동아와 같이 태어난 이 쌍둥이 과학자들은 카이스트로 돌아와 벌써 중견 학자가 됐다. 30년 전의 앨범에서 찾은 ...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과학동아 l201202
- [전남 나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근처 논에 위치한 자연 둠벙. 논과 논 사이에 마련된 작은 물 웅덩이다. 겨울이지만 많은 동식물이 살고 있어, 논과 함께 농촌 생태계의 허브를 이룬다.]지난 1월 6일 전남 나주시 산포면.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차로 5분쯤 더 가자 길 옆으로 작은 논이 펼쳐졌다. 겨 ...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0916
- “맹-맹-맹-맹!”, “꽁-꽁-꽁-꽁!”예전 농촌에서는 비가 오는 여름밤이면 이 소리가 너무 커서 잠을 못 이룰 도였대. 수백 마리가 논 주변과 밭에 모여 노래 시합을 하듯 목청껏 울어댔거든. 하지만 언제부턴가 이 소리는 점점 들리지 않게 되었어. 그런데 최근, 경기도 사리 조정경기장에서 이 소리 ...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과학동아 l200804
- 우주에서 물질은 주로 어떤 상태로 있을까.수소(H₂)나 헬륨(He) 같은 기체가 아닐까 싶지만 답은 플라스마다. 게다가 구성비도 99%가 넘는다. 플라스마란 원자를 이루는 원자핵과 전자가 서로 분리된 상태. 장마철 하늘을 가르는 번개가 바로 플라스마다. 일상생활에서는 형광등 유리관 안의 플라스 ...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0721
- 오늘은 내가 화장실 청소를 할 차례야. 어차피 더러워질 화장실을 도대체 왜 청소하는지 정말 이해가 안 돼. 그래서 밀대를 가지고 이리저리 신나게 뛰어다녔는데…, 일을 저지르고 말았어. 밀대 끝으로 살짝 건드렸을 뿐인데 변기가 깨져 버렸지 뭐야! 덜컥 겁이 나긴 했지만 속으로 생각했어. 뭐~, ...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과학동아 l200609
- 소설 ‘다 빈치 코드’는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살인사건으로 시작되는 역사 스릴러다.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최후의 만찬’에 감춰진 비밀 코드가 단서의 첫 실마리를 던지고, 수수께끼의 실타래가 점점 미궁으로 빠져드는 동안 진리와 허구, 배반과 음모가 반전을 거듭한다.다 빈치 코드는 ...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과학동아 l200508
- 사람들이 딱딱한 숫자와 씨름하고 있는 사이에도 수학은 인간의 삶 속 깊이 파고 들었다. 구름이나 꽃잎, 벽지 무늬나 놀이 속에도 수학의 원리가 숨어 있으니 말이다. 그런 현상을 일찌감치 간파한 사람들 가운데 한 부류는 아마도 미술가들인 듯하다.르네상스시대 화가 알베르티는 자신의 저서 회 ... ...
- 메탄비 내리는 오렌지빛 원시지구과학동아 l200502
- 지구의 생명체는 어떻게 처음 탄생했을까.여러 가설이 있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질소와 메탄 가스가 풍부한 원시 지구에 번개가 치면서 생명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유기물이 뭉쳐 생명체와 비슷한 형태가 만들어지고 이들이 진화하다 마침내 첫 생명체가 탄생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