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판
양어장
d라이브러리
"
못자리
"(으)로 총 5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10
벼농사를 지었다. 밭에 씨앗을 바로 뿌려 벼를 키우는 방식이다. 반면 모내기는 ‘
못자리
’라는 조그마한 판에 볍씨를 뿌리고, 볍씨가 자라 모가 되면 논에 옮겨 심는다. 모내기는 직파법에 비해 장점이 많다. 논을 매는 횟수가 줄고, 원래 논의 크기인 작은 모판에 씨앗을 키우기 때문에 관리도 쉽다.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11
포획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였다. 그러기에 “좋은 목에 있는 어살은
못자리
하고도 안 바꾼다”는 옛말도 생긴 것이리라.변산반도 앞 칠산바다를 끼고 있는 새만금 갯벌 일대는 예전에 어살을 이용한 어전어업의 중심지였다. 이곳 사람들은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황금조기나 삼치, ... ...
쌀, 아미로스 성분 적을수록 찰기 많다
과학동아
l
199401
다른 점을 꼽지 않을 수 없다.미국산 칼로스는 직파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쌀은
못자리
에서 키운 뒤 옮겨 심는 이앙법으로 재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칼로스의 종자를 우리나라에 가져와 시험재배해본 결과 도열병에 아주 약해 수확량이 뚝 떨어졌다"고 밝혔다.그런데도 칼로스쌀이 '맛 좋은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09
볍씨라고 한다.한편 우리나라의 쌀값이 국제시장가격에 비하여 훨씬 비싸기 때문에
못자리
를 만들고 모심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논에다 직접 볍씨를 뿌려 생육시킴으로서 쌀생산비를 절감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이를테면 직파적응성을 갖춘 볍씨를 만들어야 한다.쌀의 과잉생산에 ... ...
기상재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과학동아
l
198606
등 특히 집약재배를 하고있는 농작물에 대해서는 비닐가마니 이엉 등으로 덮어주고, 물
못자리
의 경우는 물을 깊게 대주는 것이 좋다. 또한 수확기에 있는 농작물이나 과일은 될 수 있는 한 빨리 수확하도록 한다. 최근 유럽에서는 우박구름에 대포로 연막탄을 쏘아올려 상당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고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