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몬테"(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과학동아 l201703
- 그럼 이 쥐처럼 돼지의 몸에서도 인간의 췌장이 자라날 수 있을까. 아직 미지수다. 벨몬테 교수는 “이번 실험은 키메라 쥐보다 훨씬 어려운 점이 많았다”고 말했다.연구팀이 꼽은 어려움 가운데 첫 번째는 돼지와 사람이 진화적으로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래트와 쥐의 유전적 거리의 5배 정도다.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03
-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멕시코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마르티네스-산도발 박사, 루이스 몬테하노 박사와 함께 연구해 2016년 2월 미국수학회가 발간하는 논문집에 소개했습니다.어떻게 결혼정리를 공간에 있는 점 문제로 확장했을까요? 예를 들어 A1, A2, A3, A4, A5, A6이 각각 평면에 있는 유한개의 점들의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01
- 말했다. 그들은 개념증명용 문제를 푸는 데 기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퀀텀 몬테 카를로 알고리듬, 모사 어닐링 알고리듬, 그리고 디웨이브2X가 사용하는 양자 어닐링 알고리듬이 각각 걸리는 시간을 비교했다. 결과만 놓고 보면 연구팀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디웨이브2X는 기존 컴퓨터에 비해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10
- 수천 년 이상 걸렸을 것이고 그 동안 많은 흔적을 남겼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몬테 베르데 이외의 지역에서 비슷한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클로비스 양식이 아메리카 대륙 전체에서 고루 발견되는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배를 이용해 태평양 위에서부터 조금씩 내려온 ...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06
- 병을 고치는 효능에 대한 설명일 거라고 추측하기도 한다.영국 맨체스터대의 마르셀로 몬테무로 박사팀은 글 전체에서 빈도수가 높을 뿐 아니라 골고루 퍼져 있는 ‘키워드’를 찾았다. 이런 방법으로 먼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글을 분석했다. 미국 소설가 허먼 멜빌이 쓴 ‘모비딕’을 분석하면 ... ...
- 지구 자전의 비밀 300년 만에 풀리다과학동아 l201310
- 동쪽에서 서쪽으로 돌고 있다는 점이다.리버모어 연구팀은 스위스에 있는 슈퍼컴퓨터 ‘몬테 로사’를 사용해 지구핵의 움직임을 계산했다. 내핵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자기장의 세기, 회전속도를 외핵의 흐름 속도, 맨틀과의 관계 등을 이용해 지구 자전 방향을 설명했다.연구 결과 내핵이 동쪽에서 ...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303
- 달하지요. 최고 45°나 되는 급경사도 특징 중 하나예요. 재미있게도 마테호른(독일어), 몬테체르비노(이탈리아어), 몽세르뱅(프랑스어)처럼 나라마다 이름이 각각 다르답니다. 아슬아슬 균형 잡기바다 위로 떠오른 요정이 아닐까요? 독특한 ‘죽마 낚시’를 하고 있는 스리랑카 낚시꾼들의 ...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1105
- 비만에 영향을 준 거지.박테리아로 사람의 병을 치료한 연구 결과도 있어. 뉴욕 몬테피오레병원은 *항생제를 너무 많이 먹어서 장 속에 사는 박테리아들의 균형이 무너진 환자의 장에 남편의 똥을 넣는 치료를 했단다. 남편의 똥 속에 있는 박테리아들이 균형을 되찾아 준 거야. 어때? 이만 하면 ... ...
- 심해에서 처음 발견된 털 게과학동아 l200604
- 새로운 종으로 인정됐다. 이 발견은 네이처 온라인판 3월 13일자에 게재됐다.캘리포니아 몬테리베이 아쿠아리움연구소(MBARI)의 심해 유전학자인 조 존스는 프랑스 해양개발연구소의 마이클 세곤작박사와 잠수함으로 심해를 빠져나오다가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해저에서 흰 게를 낚았다.이 종은 ... ...
- 근육세포로 움직이는 1mm크기 초미니 로봇과학동아 l200502
- 발도 붙어 있다. 현미경으로 보면 두 발 달린 로봇이 기어 다니는 모양을 관찰할 수 있다.몬테마그노 교수는“이 근육세포는 장차 컴퓨터 칩에 동력을 공급하는 초소형 발전기로도 활용될 것”이라며“실리콘 로봇에 심은 세포들은 성장, 증식, 결합을 할 수 있는 살아있는 세포들”이라고 말했다.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