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리스"(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09
- 동굴이나 구멍을 탐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달의 표면은 고운 모래입자인 레골리스(Regolith)로 덮여 있는데, 그 아래에 무엇이 있는지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JAXA는 무게 약 100kg인 탐사차로 2주 동안 지반을 탐사하며 건물을 지을 수 있을 만큼 단단한 땅인지, 물이나 건축 자재를 얻어낼 수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이유로 사람들은 미래 도시를 꿈꾸기 시작했어요. 지난 2015년 영국 왕립공학아카데미의 리스 모건 박사는 유명 건축가, 교수, 도시계획가 등 4명의 전문가와 함께 ‘100년 후 도시’ 풍경 10가지를 예상해 내놓았지요.그중 첫 번째는 ‘지하 다층 건물’이에요. 미래에는 땅속을 더 깊고 넓게 개발해서 ... ...
-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과학동아 l201702
- 신호 전달에 도움을 줘, 지방세포 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사렐리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흉터 없이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피부의 주름을 펴는 노화방지 연구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01
-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4세대 유전자 가위를 만들어내진 못했습니다. 하지만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약간 변형한 3.5세대 유전자 가위로도 충분했어요. 기준 오빠의 골육종과 전이된 암에 걸맞은 면역 세포를 만들었고, 면역세포의 활동을 저해하는 단백질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한쪽 다리는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01
- 두 허블 상수가 모두 맞다면, 우주모형을 훨씬 대대적으로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애덤 리스 교수팀은 최근 계산한 허블 상수와 플랑크 위성의 허블 상수가 다른 이유에 대해 “우주의 가속팽창을 이끄는 암흑에너지의 세기가 우주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해석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현재의 ... ...
- 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최근에는 튜브를 없애고 타이어 자체에 공기를 넣는 방식도 나왔어요. 바로 ‘튜브리스 타이어’로, 펑크가 덜 나고 승차감도 좋아서 인기를 끌고 있지요. 또 타이어 속을 공기가 아닌 고무로 채워 펑크가 나지 않는 ‘노펑크 타이어’도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똑똑하고 ... ...
- 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대신 쓰는 셈이에요. BCI + VR = ‘워크 어게인’지난 8월 초, 미국 듀크대학교 미겔 니콜레리스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BCI에 가상현실(VR)과 입는 로봇을 결합한 기술로 척수 전신마비 환자의 재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워크 어게인’, 즉 ‘다시 걷다’라는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12
- 어린 소녀들에게 주혈흡충 치료제를 투여할 것을 권고했다.[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감염된 질 상피세포(왼쪽)와 주혈흡충(오른쪽) 사진. 세균성 만성 질염이나 기생충 감염 때문에 아프리카의 어린 여성들이 HIV에 감염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보다 적극적인 화학요법도 있다.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12
- 미국 UC산타크루즈 심리학과 엘리엇 애런슨 교수와 미국의 사회심리학박사 캐럴 태브리스는 저서 ‘거짓말의 진화 : 자기정당화의 심리학’에서 “자기합리화에 빠지면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최선이었고 그 외에는 선택권이 없었다고 왜곡해 받아들이게 된다”고 밝혔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10
- 최초로 히말라야 8000m급 14좌를 등반한 엄홍길 정도가 예외다.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북극과 남극 항로를 각각 개척한 로버트 피어리와 로알 아문센 등 걸출한 모험가를 수없이 배출한 서구와는 다르다.그래서 과학탐험가라는 직책을 어깨에 얹고 전세계 지질학적 명소들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