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뽀
르포르타쥬
르포르타주
실록
d라이브러리
"
르포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 노트] Back to the Science
과학동아
l
201709
과학동아 기사는 2009년 2월호였다. 기상청 24시간
르포
. 밤을 꼬박 새워 취재할 체력과 열정이 넘치던 시절이었다. 그새 8년 6개월이 흘렀다. 8년을 붙잡고 씨름했던 ‘과학동아’를 떠나 신문과 방송의 눈으로 과학을 살폈다. ‘과학동아’ 102권의 시간이 흘렀다. 쌓아보니 허리쯤이나 된다. 시간이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
과학동아
l
201502
관련 기사를 다 모으기도 했다(논문은 완성하지 못했다). 그 와중에 ‘과학동아’에도 긴
르포
기사를 한 편 썼다(2010년 7월호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지금 읽어보면 과연 5년 전에 쓴 기사가 맞나 싶다. 현실이 당시 비판하던 내용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자뿐만 아니라 ... ...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12
‘도도의 노래’(김영사)는 지금까지 발생한 멸종 사례를 세계 곳곳에서 추적한 상세한
르포
다. 도도는 17세기에 사냥으로 멸종한 새. 저자는 이들의 흔적을 찾으며 생물의 보호를 역설한다.2. 생물 멸종과 진화론 논쟁사라져가는 동물은 보호의 입장에서도 관심이 필요하지만, 중요한 과학이론인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06
물건들을 보고 있으면 많이 가진 사람과 적게 가진 사람이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다.
르포
라이터인 찰스 만은 이 사진들을 보며 “인류는 거대한 도박 앞에 있다”고 말한다. 과잉 소비와 무너지는 가정, 환경오염 등에 직면한 도박이다.그러나 모든 사진들이 극단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남태평양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
과학동아
l
200702
스타가 되는 경우가 있어 동영상 UCC는 최근 새로운‘스타 배출기’로 통하기도 한다.
르포
형 동영상은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이 가장 대표적이다. 인터넷 사용자가 직접 논문을 검증한 내용이 하나 둘 모이면서 결국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PD수첩’이 ... ...
개미의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 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08
어려움이 많았다. 기자조직의 위계질서가 특히 나를 힘들게 했다. 주로 과학관련
르포
를 중심으로 썼다. 그래서 실험실이나 연구소 중심으로 취재를 많이 했다. 이때 현장에서 얻은 정보가 소설에 상당부분 반영돼 있다. 특히 이번에 발간한 ‘뇌’가 그렇다. 기자 시절에 뇌에 대해 관심을 많이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10
않는 것도 틀림없어 보인다. 비틀즈의 일원이었던 폴 메카트니와 하프연주가 하
르포
막스가 지독한 왼손잡이였다는 것이 그 증거다. 누가 폴 메카트니의 음악성에 시비를 걸 것인가.스포츠분야에서는 오히려 왼손이 유리하다고 할 정도다. 요즘 맹활약하고 있는 LG 트윈즈의 김기범이나 쌍방울 ... ...
안데스
과학동아
l
198812
경우 계산상으로는 가장 높다.지금은 익숙하여졌지만 필자(로렌매킨타이어·미국인·
르포
라이터겸 사진가) 가 처음으로 가족과 함께 안데스 갔을 때는 가족 모두가 머리가 아프고 숨을 헐떡이고 구역질을 하는 등 고산병(高山病)증상에 시달렸다. 이곳에서는 한숨 들여마실 때 폐에 공급되는 산소가 ... ...
본격 조사 시작된 마야 그 문명
과학동아
l
198807
앨러배스터(alabasterㆍ雪花石膏)제의 그릇등이 있었다. 이것들 중에서 코파도르와 구아
르포
파 다채색토기는 코판에서 흔히 볼수있는것이며 우르와 다채색토기, 대리석, 앨러배스터제 용기는 스라평원, 요호아호안등 마야문명권외라고 생각되는 지역의 전형적 유물이다. 이런것이 한데 있는것은 두 ... ...
아프리카의 모래해일
과학동아
l
198801
가로질러 덮고있는 모래경계선은 대체 어디까지 계속되어 있는가. 사진
르포
작가 '스티브 맥커리'는 그 현장을 상공에서 촬영하려고 '말리'공화국 톰부투(Tombouetou) 교외에서 출발하는 급유기에 편승했다. 작은 비행기는 몬순기를 앞두고 거칠게 몰아치는 폭풍에 한동안 휘말렸으나 이윽고 벗어난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