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낙
d라이브러리
"
따르기
"(으)로 총 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9
움찔움찔!사이배슬론의 의수 경주에 참가한 팀들은 채소 다듬기, 빨래집게 꽂기, 커피
따르기
등 일상에서 늘 사용하는 섬세한 손동작을 겨루며 로봇팔의 발전을 보여 줄 예정이에요. 이런 간단해 보이는 활동이 왜 경기 종목으로까지 나왔을까요?팔, 다리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뇌에서 나온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
수학동아
l
201612
이용했기 때문에 상은 거꾸로 맺혔습니다. 오목거울은 빛의 반사 법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멀어지면 상이 반대로 맺히기 때문이지요.다른 사람의 초상화를 그릴 때처럼 오목거울을 하나만 이용하면 옆모습 밖에 그릴 수 없게 됩니다.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려면 평면거울이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
수학동아
l
201607
휘파람 소리가 언어에 가깝다고 밝혔어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처럼 지프의 법칙을
따르기
때문이에요. 말을 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두 번째로 많이 나오는 단어보다 약 2배 정도, 그리고 세 번째로 많이 나오는 단어보다는 약 3배 정도 빈도가 높다는 법칙이랍니다. 예를 들어 영어로 쓴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06
아직 이렇다 할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습니다. 작은 학술지에서는 이런 지침을
따르기
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험데이터를 모두 공개하려면 이를 올릴 인터넷 공간이 필요한데 그러려면 비용이 많이 들지요. 아직 완벽하게 연구를 설명할 쉽고 유용한 통계적 방법도 없고요. 하지만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03
하면 시행횟수는 기껏해야 수십 번에서 수백 번이다. 실제 시행횟수가 확률 분포를
따르기
에는 너무 적기 때문에 좋지 않은 아이템만 계속 나오는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난수로 만드는 궁극의 암호완벽한 난수를 찾는 이유는 갈수록 중요해지는 보안 때문이다. 게임 아이템이 무작위로 나오게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
수학동아
l
201603
알아봅시다. 그리고 새로운 나눗셈 방법도 살펴보겠습니다.소수는 자연수와 같은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분수보다 나눗셈 연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마치 자연수처럼 나눗셈 연산을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소수는 분수를 위치적 기수법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위치적 기수법이란 숫자가 놓인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02
‘또한 우리는 등대 주인과 처음으로 만나는 방법에 대해서도 최초에 정했던 원칙에
따르기
로 했습니다. 가장 먼저 복제 육체의 상황을 물은 것도 그 때문입니다.’조사관은 잠시 말을 끊었다. 나는 그 공백을 가속해서 다음 대화로 곧장 넘어가지 않고 실시간으로 기다렸다.‘괜찮으시겠습니까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그런데 세슘 원자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아주 정확한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이것을 국제적인 기준으로 삼아 시간을 정했다. 세슘 원자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진동주기에 약 92억을 곱해서 1 원자초로 정한 것이다. 1958년 1월 1일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알고 있나요? 평소 엄마 말을 안 듣던 아들 청개구리는 엄마가 죽자, 엄마의 유언만은 잘
따르기
로 하고 냇가에 무덤을 만들지요. 그리고는 비만 오면 엄마의 무덤이 떠내려갈까 봐 슬프게 운다는 이야기예요.청개구리 연구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이 이야기가 얼마나 과학적인 근거가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
수학동아
l
201506
어떤 종류의 시험이든 0점이나 100점보단 60점이나 70점이 많죠. 성적이 정규분포를
따르기
때문입니다. 키와 몸무게에서 수면 시간과 식사 시간까지 우리 주변의 많은 현상이 정규분포를 따릅니다. 여론조사를 할 때도 자료를 정규분포로 분석합니다. 이항정리를 이해하면 앞날까지 내다 볼 수 있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