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두메"(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과학동아 l200906
- 연구용이나 관상용으로 자라고 있는 자생식물 덕을 많이 봤다”며 “재작년부터 매미꽃, 두메부추 등을 스케치하고 식물체를 채집해 현미경으로 암술과 수술 구조도 관찰했다”고 밝혔다. 그는 제2회 공모전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희귀식물인 ‘매미꽃’을 그린 작품으로 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과학동아 l200308
- 비가 바위의 틈새로 스며드는 까닭에 물 부족 현상으로 파키포디움, 알로에, 두메풀 등 건조에 강한 건생식물들이 자란다. 이들 식물의 줄기와 뿌리는 석회암 탑처럼 올에 의해서 훌륭한 악기로 변신한다. 특히 석회암 동굴에는 이들 식물의 뿌리가 그대로 드러난 경우가 있다. 이 뿌리는 현악기가 돼 ...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과학동아 l200101
- 돌꽃들, 산용담, 두메용담, 오랑캐장구채, 구름국화, 가솔송, 또 이름만 들어도 예쁜 두메자운까지….자주꽃방망이의 한무리를 지나 거의 다 내려온 곳에 좀자작나무의 잎이 바람에 뒹군다. 약간은 추운 느낌으로 하늘을 올려다보니 하늘은 어느새 높고 푸른 가을로 와 있다.복자기와 당단풍의 빨간 ... ...
- 백두산 곤충과학동아 l199609
- 키 작은 관목의 밭은 융단을 깔아 놓은 듯이 땅바닥에 엉켜 꽃을 피우고 있었다. 그리고 두메양귀비꽃, 구름국화, 장백제비꽃 모두 천지 주변의 봄빛이었다.여기서 백두산이 낳은 고산 나비를 말하지 않고서는 이곳을 다녀온 의미가 없다. 놀랍게도 평지에 사는 귤빛부전나비가 날아다녔다. 어떻게 ...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과학동아 l199410
- 싱싱하고 풍부하게 분포돼 있다.산매발톱 구름국화 산용담 손바닥난초 염주황기 두메분취 들쭉 린네풀 돌꽃 오리나무더부살이 등도 7월에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백두산의 고산꽃밭 식물들이다.2천7백m가 넘는 고산, 그리고 그 가운데에는 광대하고 파란 천지(天池)로 돼 신비스럽기 한이 없는 이 ...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과학동아 l199103
-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미술관에서는 '백두산 고산식물 사진전'이 열려 좀참꽃 산용담 두메양귀비 등 80종의 식물사진이 선보였다. 이를 주최한 단체는 한국자생식물동호회. 현재 식물에 조예가 깊은 40여명의 정회원과 60여명의 준회원이 이 동호회에 가입하고 있다. 준회원이 정회원이 되려면 1년 ...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과학동아 l198912
- 있는 섬바위장대 등이 나타나고 있다.동해바다에 우뚝 솟아 있는 울릉도의 성인봉에는 두메오리나무 황기 미역줄나무 메제비꽃 돌바늘꽃 만병초 홍만병초 백리향 섬백리향 쇠서나물 산마늘 큰두루미꽃 등 12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에델바이스와 솜다리많은 사람들에게 대표적이 고산식물을 ... ...
-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과학동아 l198708
- 알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천지호반뿐 아니라 바위나 벼랑 등에는 얼룩꽃지의 두메사슴지의 구름나무지의와 같은 지의류 식물들이 널리 퍼져있다. 천지호반의 초본식물 생육밀도는 대단히 높아서 1㎡당 5백20대까지 자라는 곳도 있다. 백두산 천지호반에는 식물들이 꽃피는 시기는 5월 하순부터 ...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과학동아 l198706
- 설악아구장나무 설악금강초롱 솜다리 염주나무 큰용담 홀아비바람꽃 흰금강초롱 흰두메잔대 등은 많이 알려진 종이다. 설악금강초롱은 유명한 금강초롱의 변이종 중의 하나이며, 솜다리는 흔히 에델바이스라고 하여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솜다리는 에델바이스와는 속(屬)은 ... ...
- 지리산과학동아 l198611
- 개쑥부쟁이 돌양지꽃 꽃며느리밥풀 다북고추나물 남분취 참시호 네귀쓴풀 산괭이사초 두메사초 등이 정상 근처의 식물구계를 이루고 있다.이밖에 천왕봉의 식물로서 진귀한 식물을 들면 백두산에만 자생하는 백두사초가 지리산정에도 자생하고, 금강산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