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훈주의
도덕
도덕률
d라이브러리
"
도의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
과학동아
l
201707
로켓 엔진을 개발 중인 김진한 발사체 엔진개발단장은 “현재 배터리 기술은 약 70~150kN 정
도의
추진력을 가진 전기모터 엔진을 개발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일렉트론은 탄소복합재료를 써서 배터리 때문에 늘어난 발사체 무게를 줄였을 것”이라고 말했다.김 단장은 “현재 상용화된 로켓과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707
가깝다고만 했지, 똑같다고 말한 적은 없음에 유의하시라. 1964년 당시에도 해밀턴은 근연
도의
진짜 의미가 ‘개체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상대방이 유전적으로 얼마나 유사한지 나타내는 척도임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이를 명확한 수식으로 표현할 방법이 없었다. 이제 프라이스 방정식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
수학동아
l
201704
풍족한 서식지로 돌아와 혼자 생활한다.변형균류의 삶은 생태계에서 발견한 ‘파론
도의
역설’이라고 볼 수 있다. 스페인 물리학자 후안 파론도가 1996년에 발견한 이 역설은 ‘무한 번 시도했을 때 결국 패할 확률이 아주 높은 두 가지 게임을 교대로 하면 결국 게임에서 이길 수 있다’는 내용이다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
과학동아
l
201612
돌봄으로써 얻는 순수한 이득은 없다는 것이다. 요컨대, 단수이배성이 만드는 근연
도의
불균형은 유독 벌목에서 불임성 일꾼이 자주 등장한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오늘날 학계에서 폭넓게 합의가 이뤄져 있다.단수이배성 가설은 포괄 적합도 이론이 아니다해밀턴의 규칙인 rb>c를 ... ...
[과학뉴스] 눈에 보이지 않는 초소형 기계장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
개발된 초소형 장치들은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어요. 수백 볼트의 전압이나 수백
도의
온도 등 실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조건에서만 장치가 움직였거든요. 또한 움직이는 속도도 느리고 힘도 약한 탓에 일을 하기도 힘들었답니다.하지만 최근 영국 캐임브리지대학교 제레미 바움버그 교수팀이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
과학동아
l
201609
더 많이 만나야 이타성이 진화할 가능성이 비로소 열린다.빙고! 이것이 근연
도의
진짜 의미다. 근연도는 협력자가 협력자를 만날 가능성이 그냥 우연에 의해 협력자를 만날 가능성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알려준다. 이를 좀 멋있게 표현할 방법이 뭘까. 우연에 의한 무작위적인 배열에서는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07
타인지정)이었다.가족 사이의 기증… 완전히 자발적일까“한국에는 가족에 대한 책임과
도의
를 우선시하는 유교적 풍토가 사회 전반에 깔려 있어요. 그렇다 보니 자녀가 부모에게 장기를 기증하는 것을 당연하고 정당하게 간주하는 경향이 있죠. 기증 동의 절차가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뤄진다고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있어요. 운석은 보통 초속 20㎞의 빠른 속도로 지구 대기에 들어오면서 수천
도의
온도로 타올라요. 이때 용융각이 생기지요. 윤관우 기자의 돌은 겉모습이 운석처럼 보이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해 보기로 했어요. 그러자 암석 속에 하얗게 보이는 부분과 반짝이는 알갱이가 보였어요 ... ...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톡톡 튀는 사탕을 먹는 정도예요. 이때 강한 자극은 흰색, 무자극은 검은색, 중간 정
도의
자극은 회색으로 인식돼 2차원 흑백 이미지를 볼 수 있지요.시각장애인은 훈련을 통해 사물의 윤곽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해요. 실제로 이 장치를 사용한 시각장애인 74명 중 69%가 1년 뒤 사물을 인식하는 데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6
정보의 양은 1TB(테라바이트)가 넘는다. 이중에서 지진 신호만을 골라내 분석하려면 고
도의
컴퓨터 알고리듬이 필요하다. 신진수 지질연 지진연구센터 실장은 “현재 우리나라 기술로는 지진 발생부터 사람들에게 경보가 전해지기까지 약 1~2분이 걸린다”며 “올해 안에 50초 이내로, 2020년까지 10초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