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망
낙심
절망
실의
풀이 죽음
슬픔
d라이브러리
"
낙담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09
건 하수처리 연구였는데 말이에요.” 류 대표는 결국 이렇게 적정기술과 멀어지는 건가
낙담
했지만, 개발도상국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고 싶다는 꿈 하나만 보고 견뎠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회는 다시 찾아왔다. 그는 “과거 적정기술은 ‘로테크(Low Tech)’, 즉 비교적 단순한 기술을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
과학동아
l
201612
환경을 알리고 쉴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밝혀냈다.백 교수는 “선충처럼 사람도
낙담
한 상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면 자신은 물론 주변 사람의 노화도 촉진할 것”이라고 추측했다.스트레스는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좋은 스트레스(Eustress)’와 심적 고통을 부르는 ‘나쁜 스트레스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1605
유전학과도 인류학을 부전공하겠다는 요청을 뚜렷한 이유조차 알려주지 않고 거부했다.
낙담
한 해밀턴은 졸업 후 다른 대학에서 유전학 대학원 과정을 밟기로 결심했다. 그가 여동생에게 보낸 우편엽서를 다시 들춰보자. “차라리 중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혼자 연구하는 게 나을 듯하다. 내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03
96년, 22쪽에서 재인용).집단 선택설이 활개를 치는 케임브리지 생물학과의 분위기에 크게
낙담
한 이 학생은 혼자 도서관에 틀어박혀서 진화이론을 독학하게 된다.집단 선택설의 ‛끝판왕’이 등장하다생물학적 적응을 설명할 때 별생각 없이 개체 선택과 집단 선택을 편리하게 오가던 생물학계는 196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1511
어렵다. 화성에서 첫 번째 작업이 옷을 만드는 일이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 다행히
낙담
할 수준은 아니다. 오픈소스 우주복 개발 프로젝트인 엑소스킨(EXOSKN)을 활용해 우주복을 제작할 생각이다. 영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스테파니 포가 시작한 프로젝트로, 미래의 우주탐험가들이 조작하기 쉬운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01
대한 아인슈타인의 생각은 지난 100년 동안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인들에게도 충격과
낙담
, 그리고 질문을 안겨줬다. 옥스퍼드대 천체물리학 교수이자 일반상대성이론 전문가인 페드루 페레이라 교수는 “이제야 때가 왔다”고 말한다. 앞으로 몇 년 안에 정말 중요한 발견이 일어날 것이란 말이다.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두고 있는 닥터 그랜마야. 지난달 동물로봇을 부하로 만들려는 작전이 실패한 후 몹시
낙담
했단다. 하지만 여기서 그만 둘 내가 아니란 말씀~! 동물로봇보다 더 똑똑하고 영리한 동물을 부하로 삼을 계획을 세웠지롱. 히히! 4~5살 어린이만큼 똘똘하고 사람이 듣지 못하는 소리도 낼 만큼 똑똑한 ... ...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409
reframing)을 제공한다.이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효과적인 위로 방법일까. 정말 심하게
낙담
하고 자존감이 꺾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내용의 응원이 도움이 될까. 그리고 상심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소위 ‘듣기 좋은 이야기들’일까.캐나다 워털루대 데니스 메리골드 교수팀은 이 질문에 답하기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01
과학자들이 많다. 포럼에서의 분분함이 그 증거다. 조 교수는 다른 물리학자의 무관심에
낙담
해 한동안 자기홀극 연구에서 손을 떼고 ‘모든 것의 이론(통일장 이론)’ 연구에 몰두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자기홀극 연구를 다시 시작했다. 세계가 먼저 알아봤기 때문이다. 실험물리학자인 캐나다 ... ...
들리는가, 용암이 울부짖는 소리가
과학동아
l
201306
칼데라 내부에서 현재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이는 곳이다.큰 기대를 가지고 갔지만 곧
낙담
으로 이어졌다. 툭툭 빗방울이 떨어지고 짙은 안개가 사방에 가득했다. 눈을 부릅뜨고 살펴보았지만 분화구는 드러나질 않았다. 칼데라 표면에서 군데군데 피어오르는 흰 연기만 먼발치에서 언뜻언뜻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