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점"(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09
- DSG)’를 건설하고 인간이 달 궤도에 1년 동안 체류하는 계획도 세웠다. DSG를 중간 기점으로 삼아, 인간이 탑승한 화성탐사선을 2033년경 화성에 보낼 예정이다. 유럽_문 빌리지(Moon village), 루나(Luna)-27 관리 기관: 유럽우주국(ESA)임무: 달기지 건설, 남극 지형 탐사목표시기: 2022년(루나-27), 2020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03
- 떨어지고 있는 운석들과 성분 비율이 눈에 띄게 달랐던 것이다. 이는 4억6600만 년 전을 기점으로 지구를 향해 날아온 운석의 구성 성분이 달라졌다는 것을 나타낸다.운석은 구성 성분에 따라 석질운석, 철질운석, 석철질운석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발견된 운석들은 규산염광물로 주로 이뤄진 ... ...
- [지식] 들쭉날쭉 요동치는 화폐의 힘겨루기수학동아 l201608
- EU) 탈퇴를 뜻합니다. 6월 24일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결정된 것이지요. 그날을 기점으로 몇몇 국가 통화 가치가 달라졌어요. 영국과 유럽의 일이니 영국 통화인 파운드와 유럽통화 유로에는 변화가 있겠지요. 그런데 왜 영국 반대편에 있는 한국과 일본의 통화 가치까지 변동이 생긴 걸까요?전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08
- 북극해 환경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북극해 환경은 지금으로부터 350만 년 전을 기점으로 크게 변했다. 북극해가 막 만들어진 신생대 초기에는 북아메리카 대륙과 남아메리카 대륙이 분리돼 있었다. 즉 대서양과 태평양의 바닷물이 양쪽으로 흐를 수 있었다. 그런데 350만년 전 남아메리카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11
- 2009년엔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32개 주, 2013년엔 67개 주에서 발견됐다. 프랑스를 기점으로 2010년엔 스페인, 2011년엔 포르투갈, 벨기에, 2012년엔 이탈리아, 2014년엔 독일까지 전부 퍼졌다.일본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은 2012년 부산항에서 가까운 대마도에서 등검은말벌이 발견됐다. 규슈대 타카토시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처음에는 서울 한강 둔치에서 발견됐어요. 몇 해 동안 한강둔치에서 발견돼 한강을 기점으로 퍼져나간다고 생각했지만, 어느 순간 사라져 버렸지요. 그리고는 제주도 저지대에서 발견됐어요. 서양개보리뺑이도 처음에는 경기도 수원 근처에 있는 수인산업도로변에서 발견됐지만 곧 사라졌고, ...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과학동아 l201507
- 성공이 그를 신화로 만든 것일 테지만, 오히려 그의 몰락에 눈이 간다. 테슬라는 1895년을 기점으로 점차 추락했다. 그가 제시한, 시대를 앞선 무선 전력 송신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잃었다. 최초로 대서양을 가로질러 무선송신을 하는 영광도 굴리엘모 마르코니에게 뺏겼다. 작가가 “1904년에 테슬라의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03
- 있다. 필자도 꾸준히 관련 기술을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4D 프린팅은 분명 2015년을 기점으로 3D 프린터의 잠재력이 폭발하는 데 큰 에너지를 보탤 것이다. 영화에서만 봐왔던, 물체를 순간이동 시키는 미래가 우리 눈앞에 와 있다. 티비츠 교수는 ‘와이어드’와의 인터뷰에서 “프로그래밍 코드를 ...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502
- 빙하기가 끝나는 시기에 발견된 털매머드는 이전보다 작아졌다. 결국, 1만3800년을 기점으로 털매머드 의 숫자는 급감했다. 털매머드의 멸종은 남쪽부터 북쪽방향으로 일어났고, 가장 마지막까지 털매머드가 살아남은 곳은 시베리아 최북단이었다. 1만3500년 전, 유럽에서 스텝 지역이 완전히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01
- 우선 ‘임계점’을 찾을 수 있다. 물이 100℃에서 끓듯이 허니버터칩도 11월 19일을 기점으로 하나의 사회 현상으로 발전했다. 출시 후 100여 일 동안 허니버터칩을 다룬 뉴스는 12건에 불과했다. 그러다 19일 ‘대폭발’이 있은 후론 많게는 100건까지 매일 매일 평균 20건에 가까운 뉴스가 나오고 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