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질"(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쪽 ➎). K’Track G는 길이가 0.5nm인 아주 작은 바늘로 세포와 세포 사이에 흐르는 혈관외액(간질액)을 추출한다. 그리고는 포도당 산화효소가 들어있는 센서를 이용해 액체의 산성 정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혈액을 추출하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 없고, 실시간으로 혈당 수치를 알 수 있다. ... ...
- [과학뉴스] 운전 중 스마트폰, 뇌파가 조장한다?과학동아 l201608
- 중 스마트폰 사용을 멈출 수 없는 이유가 특별한 뇌파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간질과 행동’ 6월호에 발표했다.메이요클리닉 신경과 윌리엄 타툼 교수팀은 발작 증상이 있는 환자 129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메시지를 이용할 때와 전화를 걸 때, 그리고 손가락을 두드릴 때 나타나는 뇌전도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06
- 벗어나도록 속도나 범위를 계속 변화시키면 그땐 간지럼을 탔습니다.뿐만 아니라 나를 간질이는 대상이 나와 친밀함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때의 상황이 어떤지에 따라서도 간지럼은 웃음이 될 수도 있고, 짜증이 될 수도 있고, 공포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간지럼을 당하는 사람이 주체와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08
- 남한에서는 비정상(abnormal)이라고 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이상’이라고 하고, 뇌전증(간질)을 ‘전간’, 태양중심운동을 ‘일심’, 별자리표를 ‘성도집’이라고 부른다. 한자를 잘 알고 그 뜻을 깊게 되새기지 않으면 곧바로 이해하기 힘든 말들이다. 한글 용어와 조선어 용어 자체의 차이도 있다.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12
- 해야 하나요?” 한참 동안 침묵이 흐른 뒤, 그녀의 말이 정적을 깼다. “뇌졸중이나 간질 같은 신경계 질병에서도 조현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우선 MRI 검사 등을 통해서 정말 조현병이 맞는지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조현병이 맞으면, 약물치료부터 해야 합니다. 특히 남편 분처럼 심각한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10
- 국립보건원(NIH)에서 ‘새로운 혁신가상’을 수상했고, 2012년엔 미국 간질병재단에서 간질치료프로젝트상, 2013년엔 알츠하이머협회 선정 신(新)연구자상을 받았다. 최근 방한한 이 교수를 만나 뇌과학의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전기공학을 전공한 공학자가 뇌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는 게 ...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과학동아 l201408
- 신경과학자 엘란 길랏 박사다. 25년 넘게 알버트아인슈타인 의대 등에서 뇌전증(간질) 등을 연구하다가 환갑을 앞둔 어느 날 사진작가에 도전했다. 그는 “평생 연구 대상으로만 다루던 시료들을 예술로 바꿔보고 싶었다”며, “작품명들이 ‘무제’인 이유는 예술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논문과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어린 시절에 자전거를 탄 사람과 부딪혀서 머리를 크게 다쳤다. 머리 부상으로 심각한 간질을 앓게 됐는데, 도무지 약이 듣지 않았다. 결국 최후의 방법으로 양측 측두엽(머리의 양 옆에 위치한 대뇌의 부분)과 해마(옆머리 안 쪽에 위치한 ‘C’자 모양의 부분)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다. 수술은 ... ...
- 간질과 ‘코 다 페이’과학동아 l201403
- 하지는 못했지만 환자와 가족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주었어요. 치 넹 중에는 어릴 때부터 간질을 앓았던 사람이 많아서 환자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었거든요.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아직도 의사와 환자 사이를 중재할 사람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요.환자가 주인공인 의학드라마먼 옛날이야기 같다고요?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09
- 책임연구원이 2010년부터 주도하고 있다. 현재는 기억과 학습의 중추이자 알츠하이머와 간질 등과도 관련이 많은 해마를 집중 연구하고 있다.연구팀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뇌단백질체지도를 만드는데,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성이 큰 장점이다. 아주 적은 양의 뇌 시료만 있으면 정확하게 단백질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