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스페셜
"
흐름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조류 차는 신재생에너지로 탈바꿈되기도 했다. 지난 2009년 5월 14일 국내 최초로 바닷물의
흐름
을 이용한 1,000kW급의 시설을 갖춘 조류발전 소가 울돌목 지역에 설립된 것이다. 2005년 4월부터 4년여 동안 총공사비 125억 원이 투입돼 완공된 이 발전소는 500kW급 발전기 2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 ...
갈라파고스의 공룡은 어떻게 멸종했는가?
KOITA
l
2013.05.03
기껏 잘 개발해 놓은 기술마저 사장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우월한 기술이 시장의
흐름
과 맞지 않아 버려지는 사례는 숱하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소니가 이러한 사례를 유독 많이 보유하고 있다. 소니 몰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쓸데없는 독자규격 고집’을 꼽는 의견도 있을 정도다. ... ...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집중되지 않을 수는 있지만 등한시해선 안 된다. ▽남인영 박사=맞는 말이다. 이런
흐름
을 유지하려면 정부와 기초과학연구자간의 연계가 중요하다. 정부에 필요한 사항을 즉시 요청할 수 있어야 하고, 정부 역시 이를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정부의 창구를 일원화해야 한다.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또 19일부터 애틀란타에서 3일간 열린 ‘바이오2009’ 행사에 참여해 세계 바이오 산업의
흐름
을 살펴봤다. 미 서부 포스터 시에서 만난 김정은 길리어드 부사장은 신종인플루엔자(H1N1)나 조류인플루엔자 치료제로 쓰이는 타미플루를 개발해 회사를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시킨 인물이다. 그는 한국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회장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 바이오의
흐름
에 대해 ‘신약개발에서 개량신약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국은 정부, 기업 모두 블록버스터(연 매출 1억달러 이상의 신약) 개발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으나 위험부담이 높다”며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
…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1998년 시행된 뇌연구촉진법 가운데 1단계인 초기 10년 계획이 지난해 끝났다. 올해부터 한국뇌연구원 설립을 위한 2단계 계획이 시작되지만 정권 교체와 경기 침체가 맞물려 시행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선 ‘소(小)우주’라 불리는 뇌 융합 연구가 한창 주가를 높이고 있지만 국내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벌어지기 시작했다. 가드레일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반도체는 전자의
흐름
을 미시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전자가 이런 식으로 제 길을 벗어나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렵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 반도체의 집적도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릴수는 ... ...
반도체를 알면 전자제품이 보인다.
KAIST
l
2013.04.30
여겨졌던 이유는 전자제품에 일대혁명을 몰고 왔기 때문이다. 이전까지는 전류의
흐름
을 조절하려면 진공관을 이용해야만 했다. 크고 비싼데다 수명도 짧았던 진공관과 달리 트랜지스터는 크기가 작고 만들기도 쉬웠을 뿐 아니라 가격도 무척 저렴했다. 트랜지스터는 순식간에 시장을 휩쓸어 ... ...
원자력硏, 전자빔 이용 나노입자 제조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설비공간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특히 이 박사팀이 개발한 제조 공정 장치는 연속
흐름
식의 짧은 공정을 도입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o 이 박사 팀은 개발된 기술을 토대로 인쇄 전자*용 나노잉크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리/은 코어셸 나노입자 제조 공정도 최적화하는데 성공했다.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활용할 인력을 양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입니다.” 이 교수는 바이오 시장의
흐름
을 이해하지 못하는 교수들이 현장 경험 없이 이론만 가르친 것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보니 학생들도 자신이 배우는 학문이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쓰이는 지 깨닫지 못해 학습 동기를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