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스페셜
"
해
"(으)로 총 2,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
2024.01.20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
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
해
야
2024.01.17
불소가 인체에 피
해
를 주게 될 가능성은 상상하기 어렵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이
해
할 수 있는 거이다. 오히려 불소에 의한 수질 오염을 걱정하는 것이 훨씬 더 현실적이다. 토양의 ‘우려기준’을 낮추기만 하면 국민 안전이 지켜진다고 우기는 환경전문가의 억지도 볼썽사나운 것이다. 불소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화려한 선수진을 자랑하는 우리나라가 이번에는 꼭 우승했으면 좋겠다. 아울러 경기
해
설이나 뉴스에서도 프리미어리그처럼 기대득점 같은 새로운 통계 수치와 그래프가 등장하면 볼 맛이 더 있을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하기 때문이다. 그런 달력을 만들어서 국가 권력의 횡포를 막아주고, 세계화를 가능하게
해
준 것이 바로 과학의 힘이다. 그레고리력의 뿌리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5년에 만든 율리우스력이다. 로마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춘분을 포함하는 ‘마르티우스’(오늘날의 3월)에서 시작하는 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만들라는 신호를 보낸다. 놀랍게도 필터 없이 추출한 커피에는 필터를 쓴 커피에 비
해
두 분자가 30배나 들어 있다. 건강검진에서 필자의 LDL 수치가 정상 범위를 살짝 넘는 게 이상했는데 어쩌면 프렌치프레스 커피를 즐겨 마신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이제 끊었으니 내년 검진에서 수치가 떨어지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
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
해
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발표한 상온 초전도체 논문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네이처에 지적했다. 네이처는 지난달
해
당 논문의 철회를 결정했다. 리차드 모나스터스키 네이처 수석편집자는 "네이처 10에 선정된 10명의 이야기와 AI 도구인 챗GPT는 2023년 과학계에서 있었던 가장 중요한 발전을 포착한다"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
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백신』, 『의학을 이끈 결정적 질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그렇다면 식물은 자엽초 또는 하배축에서 파란빛 세기의 감소 기울기를 극대화하기 위
해
세포 사이 공간을 만들어 공기로 채워 빛이 많이 산란하게 진화한 걸까. 만일 그렇다면 식물은 뛰어난 광학자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
해
야
2023.12.06
이제 우리의 식량 안보를 위
해
요소 생산을 다시 시작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고민
해
야 할 필요가 있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900편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