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말하기를 좋아하니 생긴 격언일 것이다. 왜 말하기를 좋아할까? 여러 심리
학자
나 사회
학자
들은 이를 ‘집단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사회적 욕구’의 발로로 해석한다. 꼭 이런 거창한 이론이 아니라도 내 이야기에 누군가 공감하고 동조했을 때의 안도감과 소속감은 누구나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새로운 암호방식 설계와 취약점 개선할 때에는 수
학자
의 두뇌가 반드시 필요하다. 수
학자
인 가우스(Johann Carl Friedrich Gauß)가 생전에 수론을 두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수학의 여왕이다’라고 평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한 일이다. 최신 과학이자 비전공자가 알아먹기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많기 때문이다. 겉으로 보이는 상호관계가 아니라 물리적인 실체를 다루고 설계하는 과
학자
와 엔지니어라면 더더욱.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1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
학자
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보았을 때, 과
학자
로서 행복하게 살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일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과
학자
는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는 사람들입니다. 가장 큰 행복도 생계나 연구비 걱정 없이 하고 싶은 연구에 매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어려운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꺾이지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구상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당시에는 전리층의 존재가 아직 알려지지 않아서 과
학자
들은 무선통신의 유효거리가 160~320km에 불과하리라고 예상했다. 전자기파는 직진하는데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곡률을 고려하면 그 정도가 전자기파의 신호가 직접 닿을 수 있는 거리라는 것이다. 당시로서는 ... ...
불꽃과 굉음으로 지구 탈출! 로켓엔진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있다. 현재 과학은 "모든 물질은 고도로 밀집된 에너지덩어리이다"라는 천재 물리
학자
아인슈타인의 말에 주목한다. 이는 핵 엔진(Nuclear engine)을 의미하는 것으로 핵분열(Nuclear fission) 혹은 핵융합(Nuclear fussion) 과정 중 나타나는 물질의 거대 에너지화를 우주선의 추력에 활용하는 원리를 지닌다. ... ...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사용자 주도형 혁신의 도래
KOITA
l
2013.07.02
보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했으며 장애학생들이 제품을 시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인류
학자
가 참여하여 학생들이 게임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관찰하고 제품 개선 활동을 수행했다. 사용자 주도형 혁신은 탈 추격 혁신과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혁신 모델이다. 그동안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
2013.06.25
ICT가 담당했던 역할을 제6차 파동에서는 무엇이 대체하게 될 것인가? 핀란드 미래
학자
마 르쿠 윌레니우스(Marrku Wilenius)는 자원생산성(Resource Productivity)이 핵심 이슈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에너지와 원자재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만이 제6차 장기파동을 성장 으로 이룰 수 있는 유일한 ... ...
고전역학의 기본을 정립한 천재 물리
학자
아이작 뉴턴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우선권 논쟁'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의 상대는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라는 독일
학자
였다. 1675년 라이프니치는 자신이 독자적으로 고안한 미적분법을 발표했다. 하지만 뉴턴은 미적분은 자신이 먼저 고안해낸 것이라고, 라이프니치가 그것을 훔쳤다고 주장했다. 사실 뉴턴은 이미 기적의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
KAIST
l
2013.06.10
산업들을 일으킬 수 있는 성장 동력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
학자
로서 좋은 논문을 쓰고, 논문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며 논문을 인정받는 것이 좋은 연구이다.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전기및전자공학과의 입장에서 보면 산업체와 연계해서 좋은 영향을 주는 것 또한 좋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