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평범"(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철학 없는 기초과학의 몰락2019.10.11
-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지금, 1%도 안되는 과학자들에게 수여되는 그 상을 바라보는 평범한 과학자들은 어떤 감정을 느껴야 할까. 나도 저들처럼 될 수 있다는 희망은, 마치 서울에서 열심히 회사원으로 일하면 강남에 집을 살 수 있다는 희망처럼 멀게 느껴진다. 그렇다고 먼 나라 이야기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2019.09.17
- 하나인 먹(墨)은 송진을 태울 때 나오는 그을음을 모아 만든다. 밴타블랙이 이런 평범한 탄소 기반 물질들보다 훨씬 뛰어난 검은색을 구현할 수 있는 건 대나무 숲의 대나무처럼 배열된 나노구조 덕분이다. 개별 나노튜브에 흡수되지 못한 빛이 옆의 나노튜브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나노튜브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2019.07.30
- 3월호에 ‘외부은하들에서 거리와 시선속도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라는 다소 평범한 제목의 6쪽짜리 논문을 발표했다. 허블은 이 논문에서 ‘우주가 팽창한다’는, 천문학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을 보고하면서 팽창 속도를 나타내는 계수K를 제안했다. 1메가파섹(메가는 100만, 1파섹은 약 3.2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2019.07.19
- 왕족과 귀족계급만 살았던 건 아니다. 조선이라는 국가체제를 이루는 대다수의 사람은 평범한 민중이었고, 왕족과 귀족은 이들을 다스리는 특권층에 불과했다. 역사는 가진 자의 입장, 지배층 중심으로 기록되어 왔고, 영웅과 지도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현대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 제공 결함 이용해 구조색 구현 아무튼 해설을 읽어보니 크레이지는 ‘미쳤다’는 평범한 뜻이 아니라 크레이징(crazing)이라는 전문용어를 형용사 형태로 쓴 말장난이다(영어권 사람들도 ‘미친 색’으로 해석해 무슨 말인지 의아해하지 않을까). 크레이징은 도자기 표면에 발라진 유약에 미세한 ...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 발견한 줄 알고 양국의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그러나 조사가 진행되면서, 이 사체가 평범한 등산객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그는 패딩 재킷이 아니라 염소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송아지 가죽 허리띠를 두르고 있었습니다. 등산 배낭 대신 사슴 가죽으로 만든 화살집과 뼈로 만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McKusick(cc)/University of Lund 식민지 출신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를 오가며 살아야 했던 치오의 평범하지 않은 여정이, 염색체 숫자 48에 도전하게 만들었는지 모른다. 치오는 분명 자신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숫자 46을 말해줄 때도, 페인터의 1923년 논문의 권위가 아니라 자신의 연구결과를 신뢰했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2019.06.04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임을 나타낸 그림이다. 오른쪽은 방울 사이에 결맞음이 없는 평범한 고체 상태다. 하늘색은 원자의 밀도가 낮은 영역이고 빨간색이 짙어질수록 밀도가 높다. 네이처 제공 1957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유진 그로스는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고 ... ...
- 좋은 기억이 나쁜 기억보다 잘 떠오른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6
- 미국 브라운대 의대 신경과 연구팀은 예기치 못한 행운으로 인해 좋았던 기억이 평범한 기억에 비해 오랫동안 저장되며, 이를 이용하면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279명에게 랜덤으로 승패가 갈리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2019.04.25
- 노벨상을 받는 과학자는 십만 명 중의 한 명 뿐이다. 내가 아는 대부분의 과학자는, 평범하게 과학을 직업으로 갖게된, 보통 과학자들이다. 99%의 과학자는 보통 과학자로 살다 죽는다. ‘보통 과학자’라는 개념은, 코노프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던 중 머리에 떠올랐다. 과학자로 살아온 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