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리
예측
추정
추측
추단
결론
유추
스페셜
"
추론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 뇌종양 탐지세포·단일 원자층 반도체·
추론
하는 AI 등에 330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컴퓨터 간 인터페이스에 활용될 수 있는 원천 기술이다. 정교민 서울대 교수는 연역적
추론
이 가능한 AI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기술이 개발되면 AI가 학습되지 않은 돌발 상황에도 사람처럼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원대상 연구.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홈페이지 캡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2019.09.25
걸린다는 현상을 응용한다. 이를 잘 이용하면, 성차별이나 인종차별의 내재적 연관을
추론
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계가 논문심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편집자나 연구비 심사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지닌 위원장에게 내재적 연관검사를 필수적으로 수행하는데 합의할 수 있을까? 공정한 사회로 ... ...
인공지능, 법률자문까지 넘본다…'변호사 vs AI' 첫 대결
연합뉴스
l
2019.08.07
예정이다. 대회는 주최 측이 준비한 근로계약과 비밀유지계약 내용을 분석해 문제점을
추론
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는 자문 및 검토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변호사팀은 2인 1조로 구성된 8개 팀이 출전하고, Legal AI팀은 변호사와 AI로 구성된 2개 팀이 대회에 나선다. Legal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포기할 줄 아는 용기
2019.05.18
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
추론
을 한 번만 망한 조건에서는 자존감이 건강한 사람들이
추론
을 다시 한 번 해보겠다고 재도전 한 반면, 자존감이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은 재도전 하지 않겠다고 기권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을 그럭저럭 좋게 받아들일 줄 알고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한 번 해서 안 ... ...
'리틀포레스트는 허구?' 도시보다 농촌 비만 더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0보다 작아졌다. 농촌의 BMI 평균이 더 높다는 뜻이다. 사진제공 NCD-RisC 연구팀은 원인도
추론
했다. 먼저 도시에 비해 농촌의 수입과 교육 수준이 낮은 현실이 꼽혔다. 강 교수는 “한국만 해도 거의 모든 사회지표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비만이 적어진다(날씬해진다)”며 “여성에게서 이런 ... ...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책임연구원은 “단층은 육지에서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추론
을 누구나 할 수 있다”며 “양산단층 북쪽 끝자락의 경우 포항 위쪽에서 끝난다는 예측과 3개의 분절 단층이 존재하며 일부는 바다쪽으로 뻗어있을 수도 있다는 예측도 있다”고 설명했다. 공기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소개하기 전에 인간 눈의 해상도에 대해 잠깐 살펴보자. 먼저 거리로 계산하는 필자의
추론
은 맞았다. 우리 눈의 해상도는 눈이 두 점을 구분할 수 있는 경계의 각도로 결정된다. 이 각도가 작을수록 시력이 좋은 사람이다. 보통 1.0을 사람의 표준 시력으로 보는데, 눈과 두 점 사이의 각도가 1분(6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
2018.10.27
매력적이고 호감이 가고 믿을만하고 유능하고 공격적일 거 같은지를 꽤 일관성 있게
추론
해낸다는 것이다. 이런 판단은 각 사진의 신체적 매력도와 독립적으로 일어났다. 잘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사람일 것이라거나 못 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사람일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분석하면 뇌의 전체적인 활동 패턴을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지능(intelligence)이란 합리적인
추론
과 추상적인 사고, 경험을 통해 학습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지표가 지능지수(IQ)로 이의 타당성에 대한 반론도 있고(지능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그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팽창 정도나 수분 증발에 따른 냉각 속도 등의 정보를 보내고 뇌가 이를 해석해 습도를
추론
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칸의 왼쪽이 습도가 높을 때이고 오른쪽이 습도가 낮을 때이다. 2015년 논문에 실린 자료로 초파리(B)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두 가지 습도수용체가 잇달아 발견되면서 수정이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