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최후
끝
결말
맨나중
마즈막
궁극
스페셜
"
최종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구텐베르크가 남다른 것은 당대의 인쇄술에 관한 모든 기술적 과정을 두루 거친 후
최종
적으로 금속활자 인쇄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그도 처음에는 필경사를 고용하여 필사작업으로 책을 만들었고 필사의 문제점을 알고 난 뒤 목판 인쇄로 방향을 바꾸었다. 목판 인쇄보다 개량된 방법을 찾다가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더 빨리 발전할 거예요. 과학자가 의사와 함께 환자에게 도움이 될 방법을 고민한다면
최종
성과를 낳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을 거랍니다.” ●동물실험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절실 박 교수의 연구는 2005년 인간의 면역체계를 가진 ‘인간화 생쥐’를 만나면서 본 궤도에 올랐다. 생쥐의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처음에는 어려움도 많았다”며 “국회를 100번도 넘게 드나들어 겨우 18억 원을 받았고
최종
적으로 투자한 금액도 예산의 45% 정도인 3088억 원이었다”고 말했다. 바이오그린21 1단계 사업이 끝나가는 2007년, 농진청 연구개발국장이던 라 원장은 바이오그린21 사업의 2단계를 준비했다. 생명자원에 관한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1.09.27
말했다. 양지원 단장의 ‘이것만은 꼭!’ △바이오 분야의 핵심은 기초원천기술.
최종
상용화를 위해 기업 참여는 필수 △환경과 경제가 동행할 수 있는 연구분야를 개척해야 양지원 단장은 - 1973년 서울대 화학공학 학사 - 1980년 미국 톨레도대 화학공학 석사 - 1985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공학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심의 평가를 거쳐 이뤄진다”며 “국가 정책과 재난 재해 등 현안에 대한 대책도 반영해
최종
적으로 연구비를 적재적소에 분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산 분배 조정이 끝나면 기재부에서 이를 반영하여 국가예산을 편성한다. 이 과장은 “그만큼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전문성’,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뒤 임상 2상까지 밀고 나가는 역할을 한다. 거대 제약사를 일컫는 빅 파마(Big Pharma)에게
최종
적으로 ‘라이센싱아웃(Licensing-Out·기술수출)’을 한다. 바이오벤처와 빅 파마를 이어주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왼쪽부터 이광호 박사, 정영춘 박사, 민현석 변호사, 송병윤 서기관, 현병환 센터장, ... ...
범부처 통합 생물자원관리체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0.11.03
것인지 기본계획을 작성하면 교과부가 종합적으로 조정한 다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최종
확정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계획은 ▲미래 전략 생명연구자원의 발굴·확보 ▲생명연구자원의 보존·관리체계 강화 ▲산업적 활용체계 강화 등을 나아갈 방향으로 꼽았다. 올해 3월 지정된 ... ...
“신약 개발 협의체로 글로벌 신약 10개 개발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7.15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면 그만큼 신약개발 성공가능성은 높아진다. 신약 개발이란
최종
목표 달성 외에도 이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부수적인 효과도 볼 수 있다. ▽오경태 정책관=이전보다 나아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기업이 농수산업에 들어오면 피해를 입는다는 농민·농민단체들의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이들의 배치도 마음대로 디자인할 수 있다. 그 극단이 바로 합성게놈이다. “금요일에
최종
단계의 실험을 하고 월요일 출근해 결과를 확인할 때까지 주말이 무척 길었습니다. 현미경 속에서 파란 덩어리 하나를 발견하고는 날아갈 듯 기뻤죠. 콜로니(미생물 하나가 세포분열로 숫자가 늘어나 눈에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신약이 이 수준까지 개발되면 큰 기업이 이를 사들여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들여
최종
의약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한국은 기초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정부가 BT를 육성한다면 기초 원천기술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임상이나 임상 단계의 기술을 지원하는 것은 ‘돈’만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