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우
동생
탯줄
태줄
제사
제향
스페셜
"
제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 선정
KOITA
l
2014.02.13
산업현장에서 기술혁신 장려와 현장기술자 우대풍토 조성을 위해 2002년 7월에
제
정되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매월 중소기업과 대기업 부문 각 1명씩 수상자를 선정하여 장관상(트로피 및 상금 포함)을 수여하고 있다 ... ...
기분·몸매·성적도 좌우하는 막강 물질, 호르몬
KISTI
l
2014.02.04
기억이 잘 안나는 것이다. 게다가 코르티솔의 농도가 올라가면 이해력도 떨어져 시험 때
제
실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럴 때는 차라리 시간이 흐르기를 기다렸다가 시험을 치는 것이 현명하다. 시험지를 받은 뒤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기억력과 이해력이 서서히 ... ...
도청의 세계② 창과 방패로 얽힌 도청·방지기술
KISTI
l
2014.01.09
방식을 이용하든가 3단계의 암호화를 거치는 테트라(TETRA) 방식의 국
제
보안표준을 채택한
제
품을 사용하는 것만이 해결책이다. 휴대전화도 마찬가지로 도청을 막는 방법이 마땅치 않다. 스마트폰의 경우는 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스마트폰 이용자 10대 안전 수칙’을 검색해서 숙지하고 검증된 ... ...
[웹툰] 못잊을 친구 데릭
KOITA
l
2013.10.23
그런 존재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리고 본인도 바쁜데 동료의 일을
제
일인양 성심껏 도와주는 그런 동료를 앞으로 또 만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Derek이란 친구를 정말로 잊을 수 없습니다.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3호에서 발췌한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김빛내리(44) 교수는 한국 생물학계의 유명인사다. 노벨상 후보로 빠지지 않고 거론되며 한국인 최초의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 기초과 ... 주목받고 있다" style="padding: 0px; margin: 0px; border: 0px none;" />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
제
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동향 9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08
지난 9월 10일 애플은 새로운 스마트폰 iPhone 5S와 iPhone 5C를 야심 차게 발표했다. 하지만 기대치를 한참 밑도는 이 두 가지 신
제
품은 기존 애플 ... 않는 정신이 20세기 최고의 히트작을 만들어 낸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
제
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동향 9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지상을 연결해주는가 하면, 극초단파의 영역에서는 우주공간의 탐사선과 지구의 관
제
센터를 연결해주기도 한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항해자, 보이저는 160bps의 속도로 지구와 지속적으로 교신하면서 지구로부터 명령을 받아들이고 수집한 자료들을 지구로 쏘아보낸다. 아무것도 없는 허공을 외롭게 ... ...
줄기세포치료 실용화를 위한 부작용 극복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21
완벽하지 않아 기형종이 형성될 우려가 남아 있었다”면서, “동 연구는 유전자 발현억
제
화합물을 통해 한 단계 더 발전시킨 것”이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미래부, 한국판 스티브잡스 키우기 프로젝트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교육 확산에 한층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초․중등 학생들의 SW에 대한 이해와 관심
제
고를 위해 온라인 교육 외에도 체험학습 중심의 「SW 창의캠프」를 개최하고, 초․중등학교 재량시간(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학교 등)을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SW 교육을 확대할 예정이다. 미래부 윤종록 ... ...
새로운 나노 연구 분야에 꾸준히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논문을 쓰는 전략이나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제
원호 교수가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적은 규모라도 꾸준한 투자 필요해 ② 연구비 지원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학자들의 관심 ③ 과학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해 ※ 편집자 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