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스페셜
"
정상
"(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영화 '워낭소리' 감동...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닿은 송아지들이 빨기와 같은 비
정상
행동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비
정상
행동이 줄고 휴식 시간이 오히려 늘었다”며 “인간 접촉으로 송아지의 심박수가 감소되는 것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런 경향은 우리에서 혼자 지낸 송아지일수록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이는 인간 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질병이다.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결핍에 의해 중증복합면역결핍증이 생기는 경우는
정상
적인 아데노신 다아미나제 유전자를 주입함으로써 중증복합면역결핍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유전자치료법이 더 발전하면 유전질환을 해결하는 일이 지금보다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감축에 나서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전 세계 100여 개국
정상
들이 2030년까지 메탄 방출량을 30% 감축하는 데 합의했다. 이른바 ‘국제메탄서약’이다. 한국도 이 서약에 서명했으며 2월 기준 참여국은 150여개국으로 늘었다. 일부 국가들은 아예 ‘메탄세’를 부과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속 마그마의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11월 지표면에서 가장 큰 활화산인 하와이의 마우나로아 화산이 38년 만에 분화했다.
정상
에서 시작된 폭발은 북동쪽 경사면으로 빠르게 이어졌다. 2주 동안 흘러내린 용암은 하와이 섬의 주요 동서쪽 고속도로에서 3km도 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굳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잘 굽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과 비교할 때 비
정상
인 것은 더더욱 아니다.
정상
과 비
정상
, 질병과 건강을 구분하는 기준은 일종의 약속이자 합의일 뿐이다. 히포크라테스 동상.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질병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학자들 서양의학에서 고대 그리스에서 활약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작물화와 가축화가 진행되면서 씨나 지방 같은 저장 조직이 비
정상
적으로 비대해지며 야생 동식물보다 미네랄 농도가 약간 떨어졌겠지만 큰 문제는 아니었다. 그런데 도정 기술이 발전하며 낟알의 속껍질을 벗겨내자 주식에서 얻는 미네랄 양이 급감했고 설탕, 유지 등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아무도 용납할 수 없다. 스포츠에 뛰어난 역량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학교의
정상
적인 교육을 면제해주는 우리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아야 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2023년 수능은 2022년과 마찬가지로 '문·이과 통합형'으로 시행됐다. 연합뉴스 제공 ● 문·이과의 진정한 ‘구분 폐지’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생각된다. 참고로 헬리코박터균이 강산성인 위액에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표면이
정상
적인 점액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위액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궤양은 위암과도 상관이 있으므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헬리코박터균을 직접 암을 유발하는 제1의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대해서 전국의 시도 교육감들과 끊임없이 갈등을 빚어왔던 것은 제도적으로
정상
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실제로 새로 개편된 교육부 직제에서는 지방의 초·중·고등학교를 관리하는 조직은 찾아볼 수 없다.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도 작년 7월에 새로 출범한 국가교육위원회의 핵심 업무가 되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용어다. 골수에 문제가 생기면 피에 들어 있는 세 가지 세포를 생산하지 못하거나 비
정상
적인 세포를 생산하게 된다. 대표적인 경우가 미성숙 백혈구를 많이 생산해 백혈구 수는 많지만 기능은 제대로 못하게 되는 백혈병이다. 최초의 조혈모세포 이식은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를 대상으로 1939년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