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스페셜
"
용액
"(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서블 투명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전도도를 높이려면 PSS를 최대한 녹여 PEDOT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PSS를 녹인
용액
에 1064나노미터 파장의 적외선 레이저를 쏘면 PEDOT이 열을 먼저 흡수해 온도가 올라가고 이 때 둘러싼 PSS가 전선 피복이 녹는 것처럼 PEDOT이 다량 노출돼 전도도가 높아지는 원리다. 전도성 고분자와 적외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니코틴군의 폐포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지질 덩어리가 가득 차 있었다. 전자담배
용액
에 들어있는 니코틴이 아니라 용매(PG 60%, 글리세롤 40%)가 이런 비정상적 형태의 원인이라는 말이다. 한편 계면활성제를 합성해 공급하는 2형 폐포세포도 용매군과 니코틴군에서만 이상 형태가 관찰됐다. 합성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사실을 발견했다. 고삭신경(chorda tympani nerve)은 미각을 전달하는 안면 신경이다. 퀴닌
용액
에 침단백질을 넣은 뒤 혀에 떨어뜨리면 고삭신경의 반응이 약해졌다.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졌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쓴맛에 자주 노출되면 쓴맛에 둔감해지는 걸까. 진화생물학에 따르면 쓴맛은 ... ...
산모 혈액만으로 다운증후군 더 정확히 판별하는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방법의 정확성을 개선하는데 활용한다. 지금까지는 정제된 다운증후군 양성 DNA를
용액
에 첨가한 형태로 활용됐다. NIPT의 검사결과는 DNA 정제과정에 따라 신뢰성이 달라지는데, 이미 정제된 물질로는 검사 기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권하정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바닷물에서 전극 부식 없이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같은 염화물이 있는 상황에서도 오랜 시간 동작했다. 수산화칼륨과 염화나트륨을 섞은
용액
에 전극을 넣고 전기분해를 진행했더니 코팅한 전극의 경우 1000시간이 지나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았다. 반면 코팅이 없는 전극은 12시간만에 부식이 일어나 전극이 부서졌다. 상업적인 전기분해 전류량도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훨씬 적다”며 “서울대 논문에서는 EU 표준문서를 인용하지도 않았을뿐더러 사용한
용액
의 농도 등 분석방법에 대해서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덕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장(서강대 화학과 교수)도 “함량과 용출량이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하려면 이를 입증해야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물이 하루 만에 핑크색으로 바뀌었고 일주일 뒤에는 짙은 붉은색의 탁한
용액
이 됐다.
용액
을 분석하자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여럿 발견됐다. 이 실험은 수십억 년 전 지구에서 생명이 어떻게 등장했는가에 대한 영감을 주는 최초의 실험으로 과학사를 장식하고 있다. 유리 교수는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해질에 섞여 있는 상태다. 그대로 빼내면 도로에 전해질
용액
을 배출하는 셈이다. 이 때문에 역삼투압 기능의 막으로 걸러서 순수한 물만 배출한다. 이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 수소차 대중화를 위해서는 꼭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이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늘었지만 숙신산
용액
을 먹을 생쥐들은 3그램 정도 느는 데 그쳤다. 그리고 숙신산
용액
을 먹은 생쥐들에게서 이렇다 할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사실 숙신산은 식품첨가물로 널리 쓰이고 있고(산도조절제) 사용량에 제한이 없는 GRAS(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보는 물질)로 분류돼 있다. 연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존재하는데, 은은한 꽃향기가 나는 분자인 부르지오날(bourgeonal)을 감지한다. 정자가 있는
용액
에 부르지오날을 넣자 정자의 운동성이 커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0년이 지난 2013년 학술지 ‘화학적 감각’에는 OR1D2가 원인불명 남성불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시사하는 논문이 실렸다. 즉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