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예정"(으)로 총 24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동아사이언스 l2015.01.14
- 것이 이유다. 친환경 에너지 타운 사업은 내년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지역의 시스템 정비를 통해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는 사업인 만큼 지역마다, 사례마다 그 접근법이나 시행방안이 달라져야 한다. 윤데 마을의 사례처럼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업무협약 체결동아사이언스 l2014.12.23
- (왼쪽부터) 산기협 이정직 팀장, 김성우 본부장, 신화용 상임이사, 김이환 상임부회장,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강훈 원장, 이봉로 사무국장, 김태현 팀장, 백상운 선임연구원 - 산기 ... 산·학·연 간 기술이전 활성화, 기술사업화 및 성과확산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
- 친환경 타운의 미래지향적 모델 제시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12.19
- 시스템을 10여 개 이상 시범 적용해 운전 중에 있으며, 추가로 더 많은 시스템을 보급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시스템이 2012년 덴마크 에어로(Aero) 섬의 마스탈(Marsta)l 지역에 설치된, 세계에서 가장 큰 태양열 지역난방 시스템이다. 집열 면적이 3만 3600m2이며, 태양열 외에 지열, 우드칩, 바이오연료 등의 ... ...
- 주택에서 타운까지 제로에너지!동아사이언스 l2014.12.17
- 에너지 타운에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기술과 함 께 계간 축열식 시스템이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대해 백 박사는 “단지 차원에서, 특히 신축 단지라면 태양열, 지열 등을 융복합해 계간 축열 방식과 연계한 중앙 공급 방식이 좀 더 효율 적”이라고 설명했다.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는 연구팀의 ... ...
- 지역 특색에 맞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 추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12.12
- 녹색마을예산을 활용하며 나머지 75억 원은 기존 정부 개별사업 예산을 통해 추가 확보할 예정이다. 태양광 설치사업은 마을주민, 민간업체, 홍천군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 이 구성돼 주민이 직접 참여하게 되며, 자원화시설은 홍천군에서 설치한 후 마을공동체에 위탁 운영하게 된다. ... ...
- 저금리시대 투자, 어떻게 할까?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2.11
- 공모시장은 올 연말과 내년 초까지 삼성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SDS와 제일모직의 상장이 예정된 데다 슈피겐코리아, 씨에스윈드 등 공모 규모가 1천억을 상회하는 알짜 기업들도 대기 중이다. 실제로 10월 들어서만 우리운용의 단기 국공채펀드와 단기국공채플러스 펀드로 1300억 원과 1000억 원의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동아사이언스 l2014.11.24
- 곳이지만 잘 알지 못했던 것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꾸며 매월 마지막 주에 서비스할 예정입니다. 과학향기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갈 때마다 상쾌하다. 진짜 기분이 좋아진다. 하늘거리는 녹색 물결에 마음도 덩달아 바람을 탄다. 폐부 깊숙이 스며드는 시원한 공기도 참으로 달다. ... ...
- [Green Community_세계녹색명소] '에너지 자립의 미래' 가사도와 삼마도동아사이언스 l2014.11.14
- 현장에서 헌신적인 구조 활동에 참여한 진도 동거차도에 에너지 자립 섬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외에 신안 상태도 사업이 국가사업으로 확정되기도 하며, 전력난을 겪고 있는 도내 섬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조성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전 역시 가사도 마이크로그리드 ... ...
- 봄꽃과 함께 즐기는 전국의 과학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0.29
- 과학의 달에도 대규모의 체험형 과학 행사를 진행해 전국의 과학 애호가들을 불러 모을 예정이다. 국립중앙과학관 바로 옆 카이스트에는 캠퍼스 곳곳에 덩치 큰 벚나무들이 즐비하다. 4월 중순부터는 함박눈이 오듯 떨어지는 벚꽃을 즐길 수 있다. 가까운 계족산에는 봄이면 산성 길을 따라 벚꽃과 ... ...
- [Green Economy_지역 최고의 녹색기술]국내 첫 녹색시범도시 강릉을 체험하다동아사이언스 l2014.10.14
- 면적 18.3km2(여의도 면적의 약 2배 크기)에 2만 3400명이 생활할 수 있는 지역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2020년 온실가스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발생량 49.0% 감축, 에너지 이용량 35.9% 감소, 생태녹지율 60% 도달을 3대 주요정책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총 29개 사업을 3단계로 나눠 2020년까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