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스페셜
"
연구진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까지 국산 PET, SPECT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가능해 동영상을 보면서 진단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최첨단 영상 장치다. 국내
연구진
이 해당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 기존 PET/CT 분야 굴지의 다국적 기업들과 경쟁할 기술기반이 마련되고 방사선을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기술 분야의 미래 시장을 선도할 수 있게 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 ...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주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국내
연구진
이 점막을 이용해 백신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백신의 효능을 높이는 비주사형 점막백신 전달기술을 개발했다. 바이러스의 체내 침입관문인 점막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비강(鼻腔)에 분무하는 방식으로 주사형 접종방식에 대한 거부감을 피할 ... ...
리튬이온의 이동속도가 빠른 젤리 형태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8
국내
연구진
이 리튬이온의 이동속도가 빠른 젤리형태의 리튬이차전지 전해질을 개발하여 지난 10여 년간 리튬이차전지 시장을 장악해 온 액체전해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및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의 ... ...
레이저 잡음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국내
연구진
이 레이저의 간섭무늬를 이용하여 기존 광학현미경 보다 3배 이상 높은 해상도의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생물실험에서 흔히 사용하는 형광물질로도 전자현미경 해상도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상용성이 높아 주목받고 있다. *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 : 빛의 회절을 ... ...
ETRI, SW형 고품질 영상회의 기술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5
시제품 시연에 의한 기술의 우수성을 검증함으로써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연구진
은 보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김도영 스마트워크연구실장은 “분산형 텔레프레즌스 플랫폼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플랫폼과 이와 연동하는 풀HD급(1080p) 수준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 ...
세계 원전 안전, 우리 시설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안전 향상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를 주요 원자력 선진국들이 참여한 가운데 우리나라
연구진
이 우리 기술로 구축한 실험시설을 가지고 주관해 수행하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원자력기술개발사업을 통해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 열수력안전연구부가 자체 기술로 ... ...
산화 및 환원 그래핀을 이용한 고감도 가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국내
연구진
이 높은 습도나 강산성 등 극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고감도 가스센서 기술을 개발했다.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여러 극한환경에서도 감도를 유지할 수 있어 산업폐기물이나 폭발물 감지 등의 용도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 ...
전남대 - 獨 프라운호퍼 IPA 공동연구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독일에서 파견된 3명의 연구원이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달에는 전남대
연구진
2명이 독일 프라운호퍼 IPA에 파견됐다. 이날 공동연구센터 개소에 발맞춰 오후에는 ‘국제 케이블로봇포럼’이 개최됐다. 케이블로봇은 기존 로봇과 달리 무거운 구동장비나 관절 없이 여러 개의 케이블로 ... ...
'간'에서의 혈당 조절 기작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GKRP복합체의 3차원 분자구조 모식도 - 미래창조 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간세포에서 단백질에 의한 혈당 조절 기작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여 당뇨병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 당뇨병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고정시킴으로써, 유해 미생물에 치명적인 피해를 가하는 은나노복합체 소재가 국내 융합
연구진
에 의해 개발되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문길주) 분자인식연구센터 우경자 박사팀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고광표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