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문
읍
도시
미문
가집
한시
타임
스페셜
"
시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생명의 나뭇잎 은행잎 모양의 이 그림은 인간과 다른 5종의 동물 사이의 염색체 유사성을
시
각화한 그림이다. 왼쪽 위부터 차례로 침팬지, 개, 주머니쥐, 오리너구리, 닭이다. 각각의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 ...
오스트리아와 스웨덴에서 ‘체감’과 ‘지속성’ 배운다
2014.12.19
다양한 기술을 도입하고, 이 기술들을 융‧복합해 효율을 높이고
시
너지 효과를 발생
시
킨다. 그러나 기술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인식의 전환이다. 에너지는 더 이상 당연히 싼 값에 쓸 수 있는 재화가 아니다. 주민은 더 이상 에너지를 소비하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다. 생산의 주체이기도 하다. ... ...
지역 특색에 맞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2.12
고령화라는 농촌 문제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홍천
시
범사업을 성공
시
켜 친환경 에너지 타운의 전국적인 확산에 기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Green Tech. HORIZON> 4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통해 '노로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도 있다. 아무리 손을 씻어도 세균 덩어리 휴대폰을 다
시
만지작거린다면 도로 나무아미타불이다. 건강을 위해서 일상의 도구가 된 핸드폰을 제일 조심하자. ... ...
온타케산 분화로 본 화산 예측의 어려움
KISTI
l
2014.12.01
신호를 예측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림 2. 백두산 천지 아래 있는 마그마 움직임을 실
시
간으로 모니터링한 단면도 글‧그림 :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학박사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비롯한 우리나라 보호 습지들의 물 관련 콘텐츠의 체계적 홍보가 절실히 요망되는
시
점이다. 사진 6. 용늪의 이방인을 반기는 엉겅퀴 1. 대암산 용늪은 큰용늪과 작은용늪으로 구성되나, 현재 작은용늪은 습지로서의 기능을 거의 상실한 상태다. 정부는 큰용늪의 보존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 ...
[Green Focus_기획특집]비(非)이산화탄소를 잡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4.11.17
패러다임을 만들어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게 뒷받침하는 한편, 관련 산업을 발전
시
키고
시
장을 창출하는 신성장동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Green Tech. HORIZON> 3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Green Community_세계녹색명소] '에너지 자립의 미래' 가사도와 삼마도
동아사이언스
l
2014.11.14
섬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립 섬 조성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전 역
시
가사도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 120여 개 섬 지역에 ‘녹색 에너지 자립 섬’ 구축을 확대해 기존 디젤발전기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연간 약 160억 원의 전력공급비용을 줄이고 이산화탄소 ... ...
복리의 마법, 어떻게 활용할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100만원의 돈을 연 5%의 복리상품에 넣는다고 치자. 원금의 2배인 200만원으로 불어나는
시
간은 얼마가 걸릴까? 답은 14년이다. (72/5=14) 목표수익률을 정할 때도 72의 법칙을 활용할 수 있다. 만일 10년 안에 원금이 두 배가 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수익을 내야 할까? '72 나누기 10(년)'을 하면 답은 7.2(년)이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갑자기 한국문학이 갑작스럽게 주목받는 것으로 평가하는 것은 곤란하다. K-문학은 이제
시
작이다. 이제 걸음마 수준이지만 K-문학이 세계에 확장성을 가지고 좀 더 많은 독자들을 만나게 된다면 언젠가는 한국에서도 당당하게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 K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