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선구"(으)로 총 99건 검색되었습니다.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춘강학술상’을 제정해 전기 및 전자공학 분야 연구자에게 수여하고 있다. 전기공학의 선구자가 후배 연구자에게 주는 일종의 격려다. 한국의 과학 시리즈, 첫 번째 묶음 - 우정사업본부 제공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번역됐다. 2005년 한글판도 나왔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된 상태라 중고책을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안톤 반 ...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2015.03.17
- 서로 통신해 토양의 조건에 따라 물과 비료를 적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선구자들이 그렸던 사물 인터넷을 바탕으로 한 미래가 조금씩 우리 곁으로 다가오는 날이 멀지 않았다. 물론 과학향기 칼럼 2014년 3월 19일 자 ‘좀비가전, 냉장고 문이 저절로 스르륵?!’에서 언급되었던, 취약한 ...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KOITA l2014.12.29
- 분석하고, 이것을 그래픽으로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공중보건 분야의 전통을 낳게 한 선구적인 시도로 평가 받고 있다. 지도 위의 콜레라 지도는 쓸모가 많다. 범죄 프로파일러들은 지도에 표시된 범죄 장소를 바탕으로 범죄의 특성을 분석하거나 예견한다. 마찬가지로 역학 연구자들은 감염병이 ... ...
- [기술이 바꾼 미래] 병든 도시를 건강한 도시로 바꾼 수세식 변기KOITA l2014.12.08
- 무려 51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브라마는 잇달아 금속 선반을 발명하여 ‘기계-공구의 선구자’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획기적인 사무용품도 개발했다. 필기구로 사용하는 날개 깃털을 길이 방향으로 4등분하여 펜촉으로 활용하는 필기도구였다. 펜촉은 별도의 펜대에 꽃아 쓸 수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동아사이언스 l2014.11.24
- 당신의 이론은 지식보다는 상상에 기초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톰슨은 열역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제임스 줄(James Joule, 1818~1889)과 함께 압축한 기체를 단열된 좁은 구멍으로 분출시키면 온도가 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것을 ‘줄-톰슨 효과(Joule-Thomson effect)’라고 부르는데, 수소나 헬륨 같은 ...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05
- 못한 '미국 과학·공학 명예의 전당(ESHF)'에 지난해 이름을 올렸다. 나노테크놀로지의 선구자로 불리는 김종민 교수는 한국인 최초로 영국 옥스퍼드대 공채를 통해 정교수가 되었다. 신경의학 분야에서는 김광수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인간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한 해법으로 파킨슨병 등 퇴행성 ...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IBS l2014.10.08
- 관계뿐 아니라 그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폴 브로카는 근대적 뇌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해부를 통해 언어중추의 위치를 규명하였으며, 그의 업적은 대뇌의 언어중추의 이름인 '브로카 영역'에 남아 있다. 브로카의 연구는 후대의 언어학자들이 구조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는 ...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IBS l2014.08.06
-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MIT에서 박사후과정(postdoc)을 밟을 때 이 분야의 선구자인 칼 페이보(Carl Pabo) 교수의 지도를 받은 것이라고 한다. 그는 "페이보 교수 실험실에서 1세대 유전자가위의 소재가 되는 징크 핑거라는 DNA 결합 단백질을 연구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후에 2세대, 3세대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KOITA l2014.05.27
- 꼭두서니과의 식물 뿌리에서만 채취하던 빨간색 염료 알리자린이다. 사실 이 부분에도 선구자가 있었다. 독일의 칼 그레베와 칼 리베르만은 1868년에 콜타르의 한 성분인 안트라센으로 알리자린을 합성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들의 합성법은 비실용적이었다. 다행히 퍼킨은 호프만 교수 ... ...
이전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