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스페셜
"
분화
"(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백신, 코로나19에 맞서는 인류의 신무기
2021.01.19
수지상세포에 의해 분해된다. 감염된 세포는 세포독성T세포에 의해 제거되고, B세포에서
분화
된 형질세포는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해 병원체를 중화하거나 제거한다. IBS 제공 백신은 후천면역의 기억이라는 특징을 이용한다. 즉 특정 병원체의 전부 혹은 일부를 인체에 사전 노출시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기반한 배양액을 개발하고 있지만 역시 너무 비싸 아직은 갈 길이 멀다. 또 세포 분열과
분화
를 지시하는 성장인자는 동물의 유전자를 미생물에 넣어 생산하게 한 뒤 추출해 섞어줘야 하므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진짜 고기 같은 질감을 갖게 만드는 과제다. 아직은 치긴 너겟이나 햄버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아직 모른다. 그렇다면 잡음을 없애는 단계에서 개체 재프로그래밍을 멈춘다면, 즉
분화
된 세포들이 온전한 정보만을 지니게 된다면 몸이 다시 젊어지지 않을까. 미국 소크생물학연구소의 후안 벨몽트 박사팀은 이 가능성을 알아보기로 했다. 앞서 세라노 박사팀의 실험처럼 야마나카 인자 4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막세포 노화 되돌려 생쥐 시력 돌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은 2010년대 중반 이미 밝혀졌다. 야마나카 인자는 이미
분화
를 마친 체세포의 시간을 되돌리는 유전자 조절 단백질이다. OCT4와 SOX2, KLF4란 세가지 단백질이 있다. 문제는 이 단백질들이 너무 오래 사용되면 종양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종양 발생을 막으면서도 ... ...
일반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줄기세포의 제한적
분화
능력으로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대안으로 떠올랐던 역
분화
줄기세포는 암을 유발하는 위험성이 높아 실제 치료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김종필 교수 연구팀은 최신 줄기세포 기술에 나노 기술을 결합해 생체 내에서 세포의 운명전환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육과 글루타민
2020.12.01
회복 속도는 빨랐다. 실제 변이 생쥐에서 약물 주사 뒤 위성세포 수가 더 많아졌고
분화
도 빠르게 일어났다. 사람으로 치면 60세 노인에 해당하는 생후 18개월 된 생쥐의 근섬유 단면 사진으로 왼쪽이 정상 생쥐이고 오른쪽이 Glud1 유전자가 고장난 변이 생쥐다. 변이 생쥐는 근육의 대식세포가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팔라트 중에는 라허 호수라는 거대한 칼데라 호수가 있다. 약 1만2880년 전 거대한
분화
가 일어났다. 엄청난 양의 유황이 대기에 뿌려졌다. 북반구 전체가 추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땅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하늘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돛자리 별자리에는 초신성의 잔해가 관측되는데, ... ...
제이엘케이 "약물 부작용 예측 AI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플랫폼이다”고 설명했다. 이 플랫폼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신체 여러부분으로 다시
분화
가 가능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인공 조직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신약의 독성을 미리 탐지하는 기술도 가지고 있다. 해당 기술은 특허등록까지 완료했다. 제이엘케이는 “약물이 어떤 유전자 변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정상적인 개체로 발생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자리를 옮긴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 맞춰
분화
의 방향을 틀었다는 말이다. 저자는 “드리슈는 세포핵 밖의 물질들이 핵(유전 물질)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핵이 다시 세포 물질들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생각했다”며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모두 비슷비슷한 졸업생을 배출해 왔던 점은 혁신되어야 한다. 대학이 다양하게
분화
될 미래의 대학들은 개별 대학의 상황에 가장 알맞은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그리고 교과 외 활동을 채택하고 지원할 때 가능할 것이다. 한국 대학들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많은 전문가들이 언급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