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275건 검색되었습니다.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정유사인 엑슨 모빌은 2009년 7월 미국의 저명한 생명공학자 크레이그 벤터(Craig Venter)
박사
가 설립한 SGI(Synthetic Genomics Inc.)와 6억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고효율의 미세조류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 계약은 2013년 5월 연장됐다). 미세조류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원료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도 별도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바이오디젤의 전문가인 장
박사
는 배양액을 만들기 위한 공정에도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의 경우, 현재 공정의 수율은 이론상으로 가능한 최고 수준에 근접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 가격경쟁력이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
IBS
l
2014.10.10
졸업하고, 1974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이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7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에 물리학과 학과장('97~'99)과 물리학부 학부장('00~'04), BK21 서울대 물리연구단 단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자연 재해에 어떻게 저항하고 세포 차원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한 그는 미국
박사
후연구원(postdoc) 시절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동물 세포의 신호 전달에 대해 연구했다.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KAIST 교수로 부임하기 직전인 2007년 그는 어떤 연구를 해야 할까를 고민하다가 빛을 이용해 세포의 ... ...
에볼라 바이러스, 합리적인 경계가 필요하다!
KISTI
l
2014.09.01
속속 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처음 가졌던 의문을 다시 떠올려 본다. 그렇다면 브랜틀리
박사
와 간호원은 어떻게 에볼라 바이러스를 이겨낼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정답은 ‘아직 모른다’이다. 이들을 치료한 에모리 대학교 의료진조차 완치 이유에 대해 “치료제인 지맵 덕분인지, 아니면 이들이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생성을 억제한다.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레틴A는 1973년 미국 펜실베니아대 클리그만
박사
가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개발했다가 환자들의 얼굴에서 피부 탄력과 주름이 개선되는 뜻밖의 효능을 발견하면서 화장품에 결합했다. 레틴A는 각질층에 쌓인 늙은 세포는 떨어져 나가게 하는 반면 젊은 세포는 ...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실시간으로 본다!"
IBS
l
2014.08.07
기울이는 만큼, 당장 각 기관의 실익을 따지지 않고 조금씩 양보했으면 하는 것은 신
박사
만의 바람은 아닐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8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삽입시킬 수도 있다. 김 단장이 유전체교정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MIT에서
박사
후과정(postdoc)을 밟을 때 이 분야의 선구자인 칼 페이보(Carl Pabo) 교수의 지도를 받은 것이라고 한다. 그는 "페이보 교수 실험실에서 1세대 유전자가위의 소재가 되는 징크 핑거라는 DNA 결합 단백질을 연구했다"며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하버드대 일라이어스 코리 교수(1990년 노벨상 수상자) 연구실에서
박사
후연구원(포스닥)으로 소중한 경험을 했다. 당시에 조류독감 문제 때문에 치료제로 알려진 타미플루를 어떻게 대량 합성할 수 있을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문제는 타미플루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 ...
"세계 최고의 중이온 가속기 구축과 기술자립"
IBS
l
2014.07.09
대한 질문에는 "일이 재미있었으면 좋겠다."는 다소 의아한 대답이 돌아왔다. 정회천
박사
는 "아무리 가속기 구축이 잘 마무리되고 사업단의 목표가 달성돼도 거기에 참여한 개인이 재미없게 느낀다면 실패한 사업"이라고 평했다. 그렇다면 앞으로 RISP는 어떻게 사람이 즐거운 성공적인 사업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