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쾌
명확
확실
분명
스페셜
"
명백
"(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
2020.09.30
질병 치료에 사용하는 의약품과 분명하게 구분한다. 식약동원은 현행법에
명백
하게 어긋나는 불법적 주장이다. 그런데 음식의 화학적 성분을 들먹이는 엉터리 전문가들이 차고 넘친다. 크릴새우에서 추출한 인지질이 우리의 건강에 도움이 될 이유가 없다. 우리는 남극에 서식하는 고래가 아니기 ... ...
코로나19 2차 대유행?…겨울철 접어든 북반구, 재확산 조짐 스멀스멀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있다”며 “바이러스 양성률이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고 있고, 이는 (2차 확산의)
명백
한 신호”라고 말했다. 한편 체코도 25일 기준 2913명의 일일 신규 확진자를 기록해 코로나19 유행 이후 두 번째로 많은 확진자가 나왔고, 4월 이후 다소 완화 추세였던 독일에서도 1000명 이상 확진자가 나와 ... ...
[코로나19 연구속보] 논란의 코로나19 ‘혈장치료’ 첫 임상연구결과...생존율 ‘글쎄’·증상은 ‘개선’
2020.09.22
비록 RCT가 이뤄지지는 않았지만 혈장 치료의 해로운 점이 없다는 사실은
명백
하다”며 “혈장 치료에 관한 보다 광범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https://www.the-scientist.com/news-opinion/indian-study-shows-no-survival-benefit-of-plasma-in-covid-19-67931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공식품의 합리적 소비
2020.09.16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코라나19 팬데믹을 통해서 더욱 절실하게 확인하게 된
명백
한 팩트다. 식품의 생산과 소비가 확실하게 단절된 현실에서 전통적인 슬로푸드만 고집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오히려 좋은 품질의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를 합리적으로 선택해서 현명하게 소비하는 지혜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무줄이 돼버린 방역 대책
2020.09.02
있던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파악해서 방역에 사용한 것은 개인정보보호법을 무시한
명백
한 불법 행위였다. 사회 질서를 핑계로 정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일은 이제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악습이다. 바늘구멍으로 황소바람이 들어오는 법이다. 과학적 방역을 무시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전면 재검토해야
2020.08.19
몰라주고, 과기부·복지부·질병관리본부도 애써 외면하고 있지만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명백
한 팩트다. 바이오 벤처들의 활약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항체 진단키트도 개발했고, 치료제‧백신의 개발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중증 환자의 치료 기간을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라카 원전의 시운전을 지켜보며
2020.08.05
수준의 원전 기술을 개발해낸 탁월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 꿈에서도 잊지 말아야 하는
명백
한 역사적 팩트다. 신재생의 극단적인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필요하다. 친환경성이 확인‧검증된 원전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우리가 어떤 기술이나 ... ...
코로나19 '공기감염 주의보'에 마스크 중요성 더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07.06
추천했다. 이후 4월에 무증상 감염자도 코로나19를 전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명백
해지자 CDC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어려운 경우 모든 사람에게 마스크 착용을 권했다. WHO도 이 입장을 결국 채택했다. 코로나19가 급속도로 재확산하고 있는 최근에는 거의 미국 전역에서 마스크 착용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 이후의 교양 교육
2020.06.24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야산에 서식하는 멧돼지가 50만 마리가 넘는 것도
명백
한 사실이다. 42만 명의 화전민을 도시에 정착시키고, 장작 대신 연탄을 연료로 사용한 덕분에 울창해진 숲이 멧돼지의 천국으로 변해버린 덕분이다. 애써 이룩한 인류 문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추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호중구가 많은 심각한 질환의 배후에 있다는 사실이
명백
해지면서, 전체적인 면역력을 떨어뜨리지 않은 채 호중구의 이상 행동을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연구가 시작됐고 현재 10여 건의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만일 과학자들이 ‘호중구는 우리의 충실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