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스페셜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15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4.07.11
1984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연방항공청(FAA)이 보잉720기를 추락시킨 적이 있고, 2012년에
다시
NASA가 미국의 디스커버리 채널과 함께 보잉727기를 추락시킨 사례가 있다. 두 번째 추락 실험은 다큐멘터리로도 만들어져 대중에게 공개됐다. 그 결과는 앞선 파퓰러 메카닉스의 조사 내용과 흔히 알려진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방향으로만 일어난다. 즉, 새로운 복제가 시작되지 않는 이상 일단 복제가 끝난 곳에서는
다시
복제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문제는 DNA가 복제될 때 '프라이머'라는 짧은 RNA 가닥이 ... 잘려나가도 유전정보 자체에는 영향이 없다. 잘려나간 부분은 텔로머레이즈라는 효소가
다시
복원해주므로 ... ...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우주 탐사에 대한 인류의 꿈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 108분 동안 지구를 한 바퀴 돌고
다시
지구로 돌아왔다. 유리 가가린은 탈출 좌석에 앉은 채 우주선에서 분리된 뒤, 낙하산을 이용해 지구에 착륙했다. 우주 비행 전, 유리 가가린은 자신이 돌아올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가족들에게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말과 다른 동물들의 움직임을 화면으로 재현해냈다. 순간을 포착한 사진을 이어붙여서
다시
그 사진이 포착한 시간들을 재생해 낸 것이다. 머이브릿지와 마레이의 작업은 당대 사람들에게 커다란 충격이었다. 그들의 작업은 눈으로 포착하기 어려운 순간의 모습을 아주 미세한 시간 간격으로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없애는 방법이다. 하지만 유해 생물이 변이를 하거나
다시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선박 평형수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해도 수중 생물을 살균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배출하는 물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배출되는 항구의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 ...
[MATH] 천재일우(千載一遇)와 확률
KISTI
l
2014.06.05
것도 다 소용없어질 것이오.” 이 이야기는 백기 장군이 지금까지 승승장구하면서
다시
양을 공격해 빼앗으려고 하지만 만약 단번에 빼앗지 못한다면 지금까지의 공로가 수포로 돌아갈 것이니 전쟁을 그치는 것이 좋다고 권유한 것이다. 그렇다면 백발백중의 출처에서 화살의 한 대가 빗나갈 확률은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
2014.05.29
. 그렇다면 제주 용천수의 나이는 대체 얼마나 될까? 땅속으로 언제 들어간 물이 지금
다시
나오고 있는 것일까? 지표수와 달리 지하수는 당연 나이를 갖고 있다. 물순환이 더딜수록 지하수 나이는 많아지며 물순환이 빠를수록 지하수 나이는 젊어지게 된다. 2003년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
KISTI
l
2014.05.26
터질 때만 인식이 된다. 아무 낌새도 없다가 갑자기 큰 소리가 나는 것처럼 느껴진다.
다시
조용해지는가 싶다가 잠시 후 탁 터지는 소리가 들린다. 이렇게 팝콘이 터지듯 크고 강렬한 자극에만 우리의 뇌가 반응하는 현상을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이라 한다. 데이빗 레비(David Levy) 미국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타고 온다는 하와이의 전설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쿡의 선단은 하와이를 출발해
다시
북상하여 북서항로를 발견하려 했지만 태풍 때문에 하와이로 기수를 돌렸다. 이것이 쿡의 ... 일쑤였지만 큰 말썽 없이 하와이를 출발하여 탐험에 나설 수 있었다. 그러나 태풍을 피해
다시
하와이로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세 가닥의 실이 있을 때의 변형 방법이다. 세 경우 모두 왼쪽의 실을 중간에 자르거나
다시
붙이는 일 없이 적당히 변형시키면 오른쪽의 형태를 얻을 수 있으며 화살표 양쪽의 매듭은 수학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생물학 외에도 매듭론은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국내에서 발표된 것 중 중요한 사례로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