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스페셜
"
곤충
"(으)로 총 1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이뤄진 이당류다(필자도 이번에 알았다). 동식물이나 미생물에 있는 천연물질로 새우와
곤충
, 해바라기씨, 표고버섯에 많이 들어있다. 한편 소장에는 트레할로스를 분해하는 효소인 트레할라제가 있기 때문에 음식으로 섭취한 트레할로스를 포도당으로 바꿔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설탕에 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해 뜰 무렵에 몰려있다. 촉촉하고 점차 온도가 올라가는 이른 아침이 고치를 갓 벗어난
곤충
이 날개를 말리고 비행을 준비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는 DNA를 손상시키는 약물인 EMS을 처리해 인위적으로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 그 뒤 돌연변이체 자손을 얻어 이 녀석들이 우화할 무렵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이를 도식화한 그림을 실었다. 습도감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아직 밝혀진 게 적다.
곤충
의 경우 특화된 습도수용체가 알려졌지만 사람을 포함한 많은 동물에서는 이런 습도수용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기계수용체와 온도(열)수용체가 습도에 따른 피부 팽창 정도나 수분 증발에 따른 냉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했다. 참고로 아시아에서 유입된 서울호리비단벌레, 즉 외래
곤충
이 이 지역의 저항력이 없는 양물푸레나무를 초토화시켰다. 도심 나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55세 이상인 고령자들에게 더 크다고 한다. 2016년 중국 베이징임학대 연구자들이 조사한 나무 28종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3 정도일 때, 안정된 비행을 이끄는 소용돌이와 양력이 발생합니다. 그런데 모기는 다른
곤충
들에 비해 날개가 좁고 긴 모양(가로세로 비율이 4.2)이어서 빠른 비행에 더 최적화 돼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날개의 가로세로 비율이 적으면 날개의 끝에서, 날개의 가로세로 비율이 크면 가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원리를 안 뒤 더 나은 경로를 찾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며 “이는 지금까지
곤충
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행동의 유연성”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일을 해낸 뒤영벌만큼이나 이런 실험을 고안한 연구자들도 똑똑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액이 나오고, 왁스 생합성 유전자 덕분에 포충낭 위 테두리와 안쪽 면이 미끄러워져
곤충
이 중심을 잃고 빠진다. 한편 병 발생 관련 유전자는 변이가 일어나 소화효소로 기능이 바뀐 것으로 밝혀졌다. 속씨식물의 진화과정에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식충식물이 등장했다. 속씨식물 계통도의 ... ...
자연 속에서 살아있는 과학을 체험하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해나가는 형식이다. 참가 가족들은 그물로 물고기를 직접 잡기도 하고, 다양한 식물·
곤충
등을 관찰하면서 몸으로 체험하는 과학교육을 체험했다. 참가자 가족 부모들은 이번 가족과학캠프가 더 지속해서 확대 시행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분위기다. LG생명과학연구원에 근무하는 윤덕일 씨는 "그동안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7
진화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해바라기의 성장 조절뿐만 아니라 꽃의 온도와
곤충
이 모이는 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양자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이온 트랩’의 모습이 담겼다. 4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이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개체수가 점점 늘어가 마침내 원래 얼룩나방보다 많아지기에 이르렀다. 1896년 영국의
곤충
학자 제임스 투트는 저서 ‘영국의 나방’에서 이런 변이를 다윈의 자연선택이 진행되고 있는 예라고 하면서 나방의 천적인 새의 섭식이 ‘선택압’이라고 제안했다. 즉 과거 공기가 깨끗할 때는 나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