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말
해초
바닷물
해수
바다새
바다물
해로운 짐승
뉴스
"
해조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BBC 선정 지구와 당신에게 좋은 미래 '수퍼푸드' 다섯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게티이미지뱅크 그 다음으로 지목된 미역은 전세계 해역 어디서나 발견할 수 있는
해조
류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수 세기동안 식용으로 쓰였다. 말린 미역은 맛잇고 짭조름한 감칠맛을 준다. 또 인체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오메가3 지방산은 고혈압 예방 및 ... ...
천리안 1호 해양관측 데이터로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올라가면서 ‘괭생이모자반’이 늘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괭생이모자반은 열대성
해조
류로 어선 항해 및 조업에 지장을 주고 해안가 경관을 훼손하는 골칫거리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0년 GOCI가 촬영한 사진에서 보이지 않던 괭생이모자반이 2015년을 기점으로 매년 남해안과 제주 지역 해안에서 ... ...
봄철 극지방 대기에서 나타나는 요오드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과학과 기술’ 5월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해수 대기 중 요오드는 다시마 같은
해조
류가 발생시킨다. 극지방 대기 중의 요오드는 오존을 파괴하고 구름 생성 과정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해, 이번 연구 결과가 기후변화 연구에 새로운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극지 바다에 녹아 있는 ... ...
플라스틱 OUT! 빨대의 ‘착한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바다거북 영상이 확산되면서 빨대에 적용할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식용으로도 쓰이는
해조
류인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빨대도 등장했다. 이현태 자연에버리다 대표는 “우뭇가사리는 플라스틱 빨대와 외형과 질감, 탄성이 거의 똑같다"며 “저온이나 고온에서도 오랜 시간 형태를 유지한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이 만든 잡종으로 산호 멸종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강조했다. 반오펜 교수 연구팀 외에도 영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과학자들이 2018년 공생
해조
류 내부 엽록체의 게놈을 성공적으로 조작했다는 연구를 내놨다. 해당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가 산호 죽음의 매커니즘을 밝혀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오펜 교수 연구팀 또한 최근 호주 ... ...
해조
류에게 배운다…세균까지 차단하는 신개념 오염방지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아이디어를 냈다. 실험 결과, MPC가 코팅된 나노 바늘은 뾰족하면서도 미끌거리는, 실제
해조
류와 비슷한 특성을 갖는 오염방지막 소재로 거듭났다. 선가현 연구원은 “수막 덕분에 미세표면에 찔려 죽은 박테리아가 쉽게 물로 씻겨 나갈 수 있다"며 "미세표면과 피막을 이용해 이중으로 오염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한파를 이기는 법, 우리 마음은 이미 알고 있다
2018.12.08
을 많이 먹고, 시금치나 쌈채소 등 겨울에도 잘 자라는 채소를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해조
류도 겨울에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는 왠지 물도 덜 마시게 됩니다. 가급적 2리터 정도의 물을 매일 마시도록 노력하십시오. 위생 | 겨울에는 씻는 것도 괴롭습니다. 모든 가정과 모든 ... ...
[화보]독도엔 누가 살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5
종 수의 두 배 이상이다. 사진은 독립문바위 아래에서 촬영한 대표적인 독도
해조
류 숲의 모습이다. 감태와 대황 - 사진 김지현 박사 원통뿔산호 독도 서도 수심 20m쯤에 있는 수중동굴에서 촬영했다. 다이버들이 수중에서 호흡을 하면 수면에 공기 주머니가 생긴다. 동굴 윗면에 거꾸로 자란 ... ...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26
불리는 해초들이 산다. 잘피는 물속 흙에 뿌리를 내리고 양분을 흡수하는 바다 식물로,
해조
류인 미역과 다시마와는 다르다. 잘피류는 바닷속 숲을 이루면서 탄소를 흡수하는 동시에, 다양한 어류의 집도 되어준다. ● 갯벌은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저장고 박테리아는 산소를 ... ...
해조
류 죽이는 바이러스가 구름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08.28
수조에 담긴 바닷물에는 mL당 코콜리스 입자가 2000만 개가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해조
류가 EhV에 감염된 지 5일 뒤에는 바닷물에서 발견된 코콜리스 입자 수가 3배 이상 증가했고, 공기 중 코콜리스 입자 수는 10배 가까이 늘었다. 연구팀은 “수조 실험에서 대기 중 코콜리스 입자 수가 계속해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