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48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는 '암'…질병청, 빅데이터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knhanes.kcda.go.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질병청
학술
연구자료처리실 또는 원격분석시스템을 통해 열람하고 분석할 수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8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는 국가 건강조사다. 흡연·음주·식습관부터 만성질환 이력, 혈액·소변검사까지 ... ...
소리 방향에 따라 변하는 파동 현상 입증…초음파 장비 혁신 가져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달라지는 현상을 실험으로 입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물리학 분야 국제
학술
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15일 게재됐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많은 기술은 파동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원리를 활용한다. 예컨대 녹색 레이저 포인터는 적외선의 주파수를 두 배로 ... ...
식물도 '자가면역질환' 있다…원리 규명해 품종개량 방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복합체 'DM3'의 구조와 기능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셀'에 공개됐다. 식물은 고유의 면역 시스템이 있고 종종 자기 단백질 구조를 병원균으로 오인해 스스로 공격하는 자가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서로 다른 품종 간 교배 후 자가면역이 일어나 자손 식물이 ... ...
합성생물학 실험 표준화, 한국이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난제 해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10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https://doi.org/10.1038/s41467-025-61263- ... ...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기술 개발에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18일 온라인 게재됐다. -https://doi.org/10.1038/s41467-025-61771- ... ...
지진경보에 쓰이는 스마트폰…"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대규모 실증을 통해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7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AEA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 내장 센서로 지진을 감지하고 경보를 울리고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AEA는 기존 지진 ... ...
아들부자·딸부자, 우연 아냐…초산 나이도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000여 명(출산 14만6000여 건)의 가족 자료, 유전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18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자녀 성별은 가족마다 미묘한 ‘쏠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세 자녀 이상을 둔 가정에서는 아들이나 딸만 태어난 ... ...
식량위기 가져오는 폭염 버티는 벼·밀·콩 만드는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유전자 'QT12'를 찾아내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품종을 개량한 사례를 지난 4월 국제
학술
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10년 동안 더운 지역에 벼 533종을 심어 이중 2개 품종을 교배해 만든 품종의 12번 염색체에서 QT12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교정 기술로 열에 취약한 특정 연구용 벼에 QT1 ... ...
"AI와 허위정보, 핵전쟁 오판 부추겨"…전문가 우려 고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7.20
있다. 14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시카고에선 핵무기 개발 80주년을 맞아 3일간의 국제
학술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선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세계 과학자들이 모여 핵전쟁 방지책을 논의했다. AI의 군사적 함의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핵실험 중단 합의을 재확인했다. 미·러 간 ... ...
[과기원NOW] UNIST 권태혁 교수, ‘2025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3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7.20
면역 활성화 효과를 입증했다. 해당 연구는 ㈜오투메디와 공동으로 수행됐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으며 국내 특허 2건이 출원됐다. UNIST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정밀항암 및 면역치료 융합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