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발
폭팔
가스
개스
까스
깨스
뉴스
"
폭발가스
"(으)로 총 24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가 대규모 화산 폭발 원인은 바닷물 급격한 기화 작용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남태평양 통가의 홍가통가훙가하파이 화산에서 지난 1월 15일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 이번 폭발의 규모가 커진 건 전날 발생한 폭발로 인해 화산 분출구가 해수면 밑으로 가라앉으며 폭발 당시 분화된 용암이 바닷물을 기화시켰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통가지질서비스 제공 지난 1월 남태평양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합리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
2022.03.16
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에너지 정책이 또 한 번 요동칠 모양이다. 이제 맹목적인 ‘탈원전’을 앞세운 ‘신재생 확대’의 과속질주는 폐기된다. ‘원전 최강국’ 건설과 함께 ‘원자력과 신재생의 균형’이 새로 출범하는 정부의 목표라고 한다. 지난 60여 년 동안의 노력으 ... ...
나사 "통가 화산재 58㎞ 상공까지 치솟아…역대 최고기록"
연합뉴스
l
2022.03.07
지난 1월 15일 남태평양 통가 인근에서 폭발한 해저화산이 뿜어 올린 화산재 기둥이 지금까지 기록된 화산 폭발 가운데 가장 높은 58㎞ 상공까지 치솟았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랭글리 연구센터 연구진은 3만5천800 ... ...
전세계 26개국 과학자들 동해 울릉분지 ‘과학시추’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4
2024년 이후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 예정 해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동해 해저 ‘울릉분지’ 과학시추가 이르면 2024년 이후 본격 착수된다. 26개국 공동 연구진이 참여하는 국제공동해양시추 연구로 해저 지질 재해 연구는 물론 울릉분지의 국제적·공식적 지명 확립과 ‘일본해’가 아닌 ‘동 ... ...
탄소중립에 원자력은 필요할까...가열되는 '친환경'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벨기에 도엘 소재 원자력발전소. 위키미디어 제공.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은 더 이상 뒤로 미룰 수 없는 전세계 각국의 핵심 정책 목표다. 탄소를 직접 배출하는 화석연료를 활용한 에너지 비중을 줄이고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 ... ...
1만1천광년 떨어진 카시오페이아A는 빛나는 보라색 구름 모습
연합뉴스
l
2022.02.17
IXPE로 촬영한 카시오페이아 A.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지난해 12월에 쏘아 올린 첨단 우주망원경 'X선 편광측정 이미지 탐사선'(IXPE)으로 촬영한 사진들을 처음 공개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 등에 따르면 IXPE가 촬영한 것은 '폭발하는 별'인 초신성과 초신성의 잔해로 유명한 '카시 ... ...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과학의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왼쪽은 2020년 8월 통가 화산이 폭발하기 전, 오른쪽은 화산이 폭발한 다음날인 이달 16일에 촬영된 위성사진. EU지구관측 프로그램 코페르니쿠스 센티널-2 위성 촬영. 프랑스국립우주센터(CNES) 제공 이달 15일 오후 1시 10분(한국시간) 남태평양 통가 인근 해저에서 역대급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통가 ... ...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이례적 기록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9
남태평양 통가의 훙가통가훙가하파이화산에서 분연주 높이가 20km 가까이 되는 분화가 발생했다. 통가지질서비스 제공 남태평양 통가에서 발생한 해저화산은 진귀한 기록으로 남을 전망이다. 1만km 떨어진 남미 대륙이 피해를 입었고 화산 폭발에 따른 쓰나미 발생했다. 아울러 충격파로 한반도 ... ...
[영상]남태평양 해저화산 분출 20km 높이 화산구름…한때 미국·일본 등 쓰나미 경보·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01.16
남태평양 통가의 훙가 통가 훙가 하파이화산에서 분연주 높이가 20km 가까이 되는 분화가 발생했다. 통가지질서비스 제공 남태평양 통가 부근에서 해저 화산이 분출하며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19.2km까지 솟구쳤다. 이로 인해 미국, 일본, 멕시코 등에 쓰나미 경보가 내려졌고 일본 일부 해안에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바다 위로 막 태양이 떠오른 직후의 지구. NASA 제공 환경 저널리스트 마크 라이너스의 책 《최종 경고: 6도의 멸종》 한국판이 최근 출간됐다. 라이너스는 수많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지구 평균 온도가 1도씩 오를 때마다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를 각 장 별로 그리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