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부분
콜라겐모이스쳐크림
뉴스
"
태반
"(으)로 총 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Ig D는 항원에 노출되지 않은 B세포의 항원 수용체다. 다섯 항체는
태반
포유류라면 거의 모두 가지고 있다. 면역이란 몸 안에 들어오는 다른 생물을 쫓아내기 위한 적응이다. 그런데 쫓아내는 것도 에너지가 드는 일이므로 적당한 수준에서 타협해야 한다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또한
태반
이 아기가 나오는 길에 위치해서 진통 중에
태반
이 손상될 위험이 있는 경우나
태반
이 일찍 떨어지기 시작한 경우, 탯줄이 먼저 빠진 경우, 자궁이 파열되는 경우, 진통 중 태아의 상태가 나빠져서 얼른 꺼내 치료해야 하는 경우에도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 단지 분만통이 두려워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발표 보도자료 전문
2019.10.07
면역계 작용도 산소를 감지하고 달라진다. 태아 발달 과정에서도 혈관 형성이나
태반
발달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산소 감지는 필수적이다. 산소 감지 메커니즘을 통해 여러 가지 질환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그림 2). 예를 들어 만성신부전증(chronic renal failure)은 EPO 유전자가 발현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가 바로 폐포 계면활성제 결핍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다. 태아는
태반
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으므로 임신 25주 차가 돼서야 계면활성제를 만드는 체계가 발달하고 분만을 불과 6주 앞둔 34주 차에야 폐포에 충분한 양이 코팅된다. 따라서 이 체계가 완성되기 전에 태어나 폐 호흡을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
2019.09.28
그런데 4일이 넘어서 분리가 일어나면 융모막을 공유하게 된다. 간단히 말해서 같은
태반
을 공유하는 것이다. 일주일이 넘어가면 아예 한방에서 자란다. 자칫하면 탯줄이 엉키기 때문에 산부인과 의사가 상당히 긴장하는 경우다. 그런데 같은 융모막을 공유하는 경우에만 유독 높은 일치율을 ... ...
제왕절개 아기, 자연분만 아기보다 병원균 더 많이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하나는 산모가 제왕절개 수술을 하기 전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먹는 것을 들었다.
태반
으로도 항생제가 퍼지기 때문에 항생제에 면역이 강한 병원균이 주로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제왕절개 아기에게 유익한 미생물을 늘려준다며 산모의 질액을 바르는 ‘질액 바르기’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 ...
[애니멀리포트]애지중지 반려견이 처음 새끼 낳을 때 알아두면 좋은 점
2019.09.01
하루가 지나도
태반
이 나오지 않는다면 수의사는 자궁을 수축시키는 옥시토신을 투여해
태반
이 나오도록 유도합니다. 어미와 보호자가 함께 새끼를 돌봐 주세요 갓 태어난 골든 리트리버 새끼. EIBosco(F) 모든 어미는 새끼를 보호해야 한다는 본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출산이 너무 ... ...
스웨덴·濠연구진 "제왕절개 출산아, 자폐·ADHD 확률 높아"
연합뉴스
l
2019.08.30
있다고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런던 킹스칼리지 산부인과 교수 앤드루 셰넌은 "
태반
이상처럼 뇌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들이 있을 경우 제왕절개 가능성이 커진다"며 "뇌 생리학과 제왕절개의 영향에 대한 현재의 지식에 비춰볼 때 제왕절개와 정신건강 사이의 인과관계가 성립할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손가락이나 발가락에도 문제가 생기고 비장이나 신장도 손상된다. 뇌졸중도 잘 온다.
태반
으로도 혈액이 잘 안 가고, 임신도 어렵다. 소아의 경우에는 성장 속도도 느리고 키도 작다.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지친다. 폐렴도 잘 걸린다. 상당히 심각한 병이다. 겸상 적혈구성 빈혈을 앓으면 ... ...
류마티스관절염 악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통해 난치성 면역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
태반
성장인자를 억제할 경우 혈관의 증식과 림프구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감소시켰다”며 “부작용 없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난치성 면역질환을 근원적으로 치료하는 핵심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