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당화"(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오버할 일이 아니라며 약자들이 입은 피해의 심각성을 평가절하하기도 했다. 체제 정당화 동기가 큰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약자를 향한 혐오범죄가 ‘매우 흔하고 심하다’, ‘많은 사람들이 불안을 느끼고 있고 사회가 바뀌길 원한다’는 정보를 받으면 더더욱 범죄 예방과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가슴 속에 묵은 한(恨)의 심리학2018.04.29
- 되는 것이 불편해지는 역설입니다. 약자로 계속 남아 있어야, 가슴 속 깊은 원한을 정당화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점점 내적인 발전이 정체됩니다. 야구 경기를 볼 때 지는 팀을 응원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지만, 응원을 받기 위해서 일부러 지는 팀이 생긴다면 곤란합니다. 한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자주 보인다는 것이다. 실력에 따라 차별대우를 받는 것은 어쩔 수 없다며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고방식과, 자신이 힘이 없고 가난한 건 다 내가 열심히 하지 않아서, 내 능력이 부족해서 그렇다는 자기 비난이 한 예다. 언뜻 생각하면 본인이 불이익을 받고 있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에 순응해 엄연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만족스럽게 여기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의 자아를 위탁할 ‘대리물’을 찾거나 각종 정당화에 빠지게 된다. GIB 제공 자아우상국가 근본 없는 자존감의 위태로운 모습을 전체주의 독재 정부에 빗대어 설명하기도 한다(Leary, 2007). 나라가 썩어있을수록, 마치 이 나라는 좋은 모습만 있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이야기 한다 (Dutton & Goodman, 2005). 피해자 탓을 하는 것은 폭력을 계속 사용하기 위한 정당화일 뿐 폭력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가해자의 존재라는 것이다. 오랜 시간 공들인 덫 미국 조지타운대학의 연구자 Mary Ann Dutton에 의하면 의하면 많은 IPV 가해자들이 폭력을 손쉽게 사용하기 위해 ... ...
- [뉴로섹시즘]② 남·녀에게 어울리는 색은 따로 없다2018.03.23
- 정치인은 우생학의 연구를 통해 소위 유색인종이라 불리는 황인과 흑인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했다. 당시 우생학은 유사과학스러운 요소가 많았지만, 사람들은 개의치 않았다. 장애인과 유대인을 학살하고 장애인을 강제로 거세했다. 심지어 미국의 인디애나 주는 1907년에 범죄자와 정신질환자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당연하다는 결론에 이르기도 한다. 더러운 수단으로 성욕을 분출하고 해소하는 행동을 정당화 하는데 쓰이는 사고방식이다. 또한 자신이 성폭력을 저지른 건 여성들이 자신을 이해해주지 않아서 (떠받들여주지 않고 성욕을 받아주지 않아서) 라고 본다. 어쨌든 자신은 피해자요 나쁜 건 ... ...
- [뉴로섹시즘] ① 여자는 원래 그래! 순수의 종말2018.03.08
- 서로에 대한 이해를 도울까? 오히려 남성과 여성이 다르기 때문에 차별이 어쩔 수 없다고 정당화하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그게 실제로 일어났다. 여성은 수학을 못하고 참을성이 없으니까 설거지나 해라? 멀리 가지 않아도 된다. 2017년 대선에 참가했던 한 후보에게서 보인다. 홍준표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못났기 때문이라고 불평등을 쉽게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 쪽에서는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또 다른 쪽에서는 싫어도 어쩔 수 없다고 불평등에 순응하기 때문에 불평등이 쭉 이어지는 것이 아니겠냐는 의문을 던지기도 했다. 얼마 전 가난한 아이가 요즘 유행하는 비싼 패딩을 원했다며 ... ...
- [기자의 눈] 과학문화 소외계층의 울타리동아사이언스 l2017.09.19
- 보다 소외계층의 입장에서 실태를 직시하는 게 필요하다. 예산 부족이 모든 한계를 정당화 해 줄 수는 없다. 한정된 예산을 활용해 본연의 목적에 맞는 국가 차원의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정부의 몫이다. 꿈을 키워 줄 과학체험에서만큼은 다양한 계층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 ...
이전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