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윤곽
실루엣
뉴스
"
전체모양
"(으)로 총 561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린란드 빙하 녹으면 전세계 해수면 27cm 상승…"당초 예상치 두 배"
동아사이언스
l
2022.08.30
덴마크 연구팀이 그린란드 빙하가 녹으면 전 세계 평균 해수면이 27.4cm 증가한다는 예측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 8월 29일자에 발표했다. Hannes Grobe 제공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당초 예상치의 두 배 이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를 주도한 제이슨 복스 덴마크 및 그린란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작지만 큰 '용기'
과학동아
l
2022.08.30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답은 안 쓰고 안 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폐기물을 아예 버리지 않기란 어렵다. 그렇다면 우리가 버린 폐기물이 순환해 다시 우리 손으로 돌아오도록 하면 된다. 말로는 참 쉬운 이 과정이 왜 어려운지, 그 어려운 일 ... ...
[주말N수학]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확인하는 과학적 방법
수학동아
l
2022.07.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스파게티면이 잘 익었는지 어떻게 확인해야할까요. 최근 미국에서 기계공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국수 가닥끼리 얼마나 잘 붙어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샘 터픽 미국 일리노이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3월 미국 물리학회에서 스파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가장 정밀한 SMACS 0723 은하 구조 보여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미항공우주국이 첫 공개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SMACS 0723 은하단 이미지.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총 천연색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구에서 약 46억 광년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지난해 1월 28일 누리호 1단 인증모델 종합연소시험을 진행했다. 75t급 액체연료 엔진 4기를 묶어 300t의 추력을 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우주로켓인 한국형발사체(KSLV-Ⅱ) 누리호가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두 번째 재도전에 나선다. 누리호는 한국 과학 ... ...
2000년전 폼페이 최후의날 맞은 남성 DNA 해독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5.27
79년 고대 로마 시대 도시인 폼페이에서 화산폭발로 사망한 남성의 4번 요추(L4)의 모습이다. 결핵성 척추염 흔적이 발견됐으며, 관련 박테리아의 DNA도 검출돼 남성이 상망 전 결핵을 앓은 것으로 보인다. 사이언티픽리포트 제공 약 2000년 전 고대 로마 도시 폼페이에서 대규모 화산폭발로 사망한 남 ... ...
[화보]서울 밤하늘에 나타난 '하트 성운'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변영준씨가 촬영한 IC1805 하트성운.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지난 2020년 10월 30일 서울 중랑구 면목동의 밤하늘에서 하트 성운이 포착됐다. 전체적 형상이 하트 모양을 닮은 아름다운 성운으로 중심부의 디테일한 구조와 성운 외곽의 물고기 모양이 특징이다. 성운의 아름다운 형상과 색감이 잘 드러난 ... ...
AI 눈 장착한 드론 날려 노후 항만시설물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항만시설물 점검 중인 드론. 건설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드론과 인공지능(AI) 분석을 접목한 항만시설물 점검 체계를 개발했다. 접근이 어려운 항만 시설물 점검이 가능해지고 점검원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드론과 AI를 활용한 항만시설물 점검체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현대화학의 시조, 반핵 운동가 라이너스 폴링
2022.04.14
서로 다른 두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마리와 폴링뿐이다. 특히 노벨상 역사상 단독으로 2번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은 폴링이 유일하다. 위키피디아 제공 20세기 과학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양자역학이다.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세계관은 고전역학의 결정론적 세계관을 대체했으며 원자보다 ... ...
5+1=? 덧뺄셈하는 똑똑한 열대어와 노랑가오리
연합뉴스
l
2022.04.04
1∼5 범위 안에서 하나 덧뺄셈 능력 입증 [Schluessel et al. (2022)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관상용 열대 담수어인 '제브라 음부나'(zebra mbuna)와 노랑가오리(stingray)가 1∼5 범위에서 하나를 더하고 빼는 정도의 간단한 덧뺄셈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어류의 산수 능력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