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송신
보냄
전송사진
사진
전송순위
순위
뉴스
"
전송
"(으)로 총 1,08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NASA 개발 '태양 코로나그래프' 우주정거장 설치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를 거쳐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와 천문연 우주환경감시실에 마련된 CODEX 데이터센터로
전송
될 예정이다. CODEX의 직접적인 운영과 관제는 NASA가 담당하며 천문연은 원격으로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와 함께 관측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 상황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천문연은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 ...
세계 최초 목재로 만든 인공위성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우주의 극한 환경을 버틸 수 있는지와 변형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연구자들에게
전송
할 계획이다. 리그노샛은 우주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나무는 인공위성이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하며 폐기될 때 완전히 연소하기 때문에 기존 ... ...
우주 240억km 날아가다 잠든 '보이저 1호' 깨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전력을 덜 사용하지만 신호가 더 약하다. X-밴드 송신기는 고주파수로 정밀한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기 때문에 1981년 이후 43년간 S-밴드 송신기는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NASA는 10월 22일에 명령을 보내 S-밴드 송신기가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S-밴드 송신기를 통해 ... ...
"나노유연소자로 패치 만들어 부정맥 환자 치료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마치고 큰 동물인 돼지 실험 단계를 준비 중이다. 장치에서 무선으로 전력이나 데이터를
전송
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현택환 IBS 나노물질 연구단 단장은 나노물질 자체를 합성하는 데 주력한다. 김 부연구단장은 "물질 합성을 잘 못해서 입자 크기가 들쭉날쭉하면 소자 수명이 짧아지고 ... ...
강한 자기장·섬광 드러났다…최신 우주망원경 관측 첫 '태양 플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0.28
발사됐다. 태양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측하며 15분마다 지상의 연구자들에게 자료를
전송
한다. NOAA는 CCOR-1이 태양 활동을 예측하기 위한 관측 활동에 특화된 최초의 코로나그래프라고 설명했다. 코로나그래프는 태양 활동을 관측하기 위한 특수한 망원경이다.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 ... ...
美 양자 석학, 기술유출 우려에 국내 교수 임용 무산?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초전도 현상을 활용하는 것이 그의 주요 연구 분야다. 양자 정보를 다른 장치로 보내는
전송
기술과 양자 정보의 운용을 쉽게 만들기 위한 변환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양자 분야 전문가인 국내 한 대학교수는 "클리랜드 교수는 일반적으로 국가나 기관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상용화 기술보다는 ... ...
텔레픽스, 우주에서 AI 프로세서 실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고성능 온보드 프로세서(On-Board Processor)다. 우주에서 수집한 정보를 지상국으로 별도
전송
할 필요 없이 위성 자체에서 처리할 수 있다. 획기적으로 데이터 분석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손실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미국 AI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 ...
초당 117GB 속도로 무선 데이터
전송
'세계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노이즈(잡음)를 감소시켜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설계했다. 성능 테스트 결과 데이터
전송
속도는 초당 약 117GB로 세계 신기록이었다. 영국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인 초당 약 12.5메가바이트(MB/s)보다 9380배 빠른 속도다. 전체 대역폭인 145GHz도 기존 세계 기록보다 5배 이상 넓었다. 연구팀은 "2시간 분량의 ... ...
[과기원NOW] KAIST, 빛의 비대칭
전송
가능케 한 메타표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김현의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 KAIST는 신종화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빛의 비대칭
전송
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야누스 메타표면'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방향에 따라 달리 반응하는 비대칭 성질은 과학과 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야누스 ... ...
전기차 '3분 20초' 만에 충전하는 케이블 냉각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전기차 충전뿐 아니라 고속열차, 모노레일, 송전선 등 고전류를
전송
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자로와 석유·천연가스 시추시설 등 고온의 중심축이 있는 둥근 관 구조의 장치를 냉각하는 데도 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